
▲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회관에서 열린 ‘2030 부산세계박람회(부산엑스포) 유치위원회 1차 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의는 8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회관에서 ‘2030 부산세계박람회(부산엑스포) 유치위원회’를 발족하고 1차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는 기존 ‘민간 재단법인 유치위원회’와 ‘정부 유치지원위원회’가 통합한 국무총리 직속 조직이다.
한덕수 국무총리와 최 회장이 공동위원장을 맡는다.
최 회장은 인사말에서 우리가 보유한 차별화 요소를 앞세워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경쟁에 나서겠다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경쟁에서) 유리하게 만들 차별화 포인트가 필요한데 우리가 보유한 디지털기술인 메타버스가 그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메타버스를 활용해서 세계인의 지지를 이끌어낼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메타버스를 통해 기후변화 등 엑스포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에 대해 다양한 국가와 사람들과 논의해서 ‘부산엑스포는 이미 시작됐다’는 이런 메세지를 알리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한 지지를 받기 위해 국가별 맞춤 전략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최 회장은 “해당 국가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우리가 무엇을 같이 할 수 있는지를 파악해 장기적으로 신뢰관계를 맺는 것이 중요하다”며 “예를 들어 저개발국인 예멘, 네팔, 라오스 등은 우리나라의 경제발전 노하우를 배우고 싶어하는데 이런 것을 우리가 도울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세계박람회 유치 지지 여부와 상관없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부터 지원하면 이들 뿐만 아니라 주변국의 신뢰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며 “각 국가별로 무엇을 원하는지 알기 위해 국가별 스터디그룹을 만들어 협력이 가능한 분야를 찾겠다”고 덧붙였다.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 1차 회의에서는 위원회 운영 세부사항을 담은 위원회 운영세칙이 확정됐다.
또 대한상의가 사무국을 맡은 유치지원 민간위원회는 국가별 유치교섭 전담 앵커기업 매칭 등 기업의 유치활동 현황과 계획을 담은 ‘민간위원회 유치활동 현황 및 향후 계획’을 발표했다.
경제단체 및 기업 차원의 실천계획을 마련하고 기업별 현지 강점을 활용한 맞춤형 교섭을 전개하는 등 민간기업의 역량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됐다. 최영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