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LG전자가 2030년 탄소중립(탄소배출 0) 달성을 추진한다.
LG전자는 최근 ESG위원회를 열고 2030년까지 추진할 ESG 전략과제를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
LG전자는 ESG위원회에서 2030년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생산공정을 개선하고 에너지 절감기술을 도입하는 등 생산단계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지속적으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정했다.
제품 사용단계에서는 소비전력과 단열성능, 열교환기술 등을 개선해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사용하는 제품의 생산과 판매를 확대하기로 했다.
또 재활용 플라스틱의 사용을 늘려 외장부품 등에 활용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국내 사업장의 폐기물 재활용을 늘려 폐기물매립 제로(0) 인증을 취득하고 해외 사업장에는 슬러지(침전물) 원료화 등 국내 모범사례를 확대 적용하기로 했다.
LG전자는 7월 중순부터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 근무하는 LG전자 임직원들의 다회용컵 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나부터 챌린지' 캠페인도 시작한다. LG전자는 이를 위해 각 층마다 다회용컵 자동세척기를 설치해 뒀다.
이밖에 LG전자는 장애인의 제품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현재 신제품 개발을 위해 장애인 자문단을 운영하는 것을 2030년까지 모든 제품군의 개발에 확대 적용하기로 했다. 최영찬 기자
LG전자는 최근 ESG위원회를 열고 2030년까지 추진할 ESG 전략과제를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

▲ 서울 여의도에 있는 LG사옥 'LG트윈타워'.
LG전자는 ESG위원회에서 2030년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생산공정을 개선하고 에너지 절감기술을 도입하는 등 생산단계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지속적으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정했다.
제품 사용단계에서는 소비전력과 단열성능, 열교환기술 등을 개선해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사용하는 제품의 생산과 판매를 확대하기로 했다.
또 재활용 플라스틱의 사용을 늘려 외장부품 등에 활용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국내 사업장의 폐기물 재활용을 늘려 폐기물매립 제로(0) 인증을 취득하고 해외 사업장에는 슬러지(침전물) 원료화 등 국내 모범사례를 확대 적용하기로 했다.
LG전자는 7월 중순부터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 근무하는 LG전자 임직원들의 다회용컵 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나부터 챌린지' 캠페인도 시작한다. LG전자는 이를 위해 각 층마다 다회용컵 자동세척기를 설치해 뒀다.
이밖에 LG전자는 장애인의 제품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현재 신제품 개발을 위해 장애인 자문단을 운영하는 것을 2030년까지 모든 제품군의 개발에 확대 적용하기로 했다. 최영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