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현구 롯데홈쇼핑 대표가 미래부의 6개월 영업정지 처분에 대해 행정소송 등의 대응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롯데홈쇼핑과 협력업체들은 30일 서울 영등포구 양평동 본사에서 ‘협력사 대표 비상 간담회’를 열고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롯데홈쇼핑과 협력업체 긴급대책회의는 6월1일까지 매일 열린다.
![]() |
||
▲ 미래부가 롯데홈쇼핑에 대한 징계를 확정한 27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양평동 롯데홈쇼핑 방송센터에서 직원들이 들어서고 있다. |
정부도 이날 롯데홈쇼핑 영업정지 징계로 피해를 입게 될 중소협력업체의 구제 방안을 내놓았지만 협력업체들은 실효성이 없다는 볼멘소리를 냈다.
미래부가 롯데홈쇼핑 중소협력업체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내놓은 대책의 핵심은 롯데홈쇼핑이 업무정지 이외 시간대와 T커머스 채널 ‘롯데원티브이’에 협력사를 우선 편성하고 다른 TV홈쇼핑과 T커머스 업체들이 롯데홈쇼핑 협력사의 입점을 차별없이 수용하도록 권장하는 것이다.
협력업체 한 관계자는 “다른 홈쇼핑 업체들과 롯데홈쇼핑의 상품 컨셉트가 다를 뿐만 아니라 한 달에 4시간 방송하던 것을 1~2시간으로 줄이게 되면 매출이 급감할 수밖에 없다”며 “T커머스를 활용한다고 해도 기존 방송의 5%도 효과를 얻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롯데홈쇼핑의 경우 매출의 절반이 황금시간대에 발생하며 황금시간대에 편성되는 협력체 가운데 중소기업 비중이 65%에 이른다.
롯데홈쇼핑의 협력업체 850여곳 가운데 560곳이 중소기업인데 이 가운데 173곳은 롯데홈쇼핑에만 입점해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백설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