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한화생명이 우리금융지주 지분 전량을 블록딜(시간 외 대량매매) 형태로 외국인 투자자에 매각한 것으로 파악됐다.
20일 한화생명 관계자는 “장기적 자산 포트폴리오 차원에서 주식 매각을 블록딜 형태로 진행했다”며 “매각가는 종가기준으로 3천억여 원이다”고 밝혔다.
한화생명은 우리금융지주 지분 3.16% 및 사외이사 추천권을 보유하고 있는 과점 주주 중 한 곳이었는데 17일 보유지분 전량을 외국인 투자자에 블록딜 형태로 모두 매각했다.
매수자가 구체적으로 몇 곳인지는 비밀유지 계약 등 밝히지 않고 있다.
한화생명은 2023년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을 앞두고 재무건전성을 개선하기 위해 이번 지분 매각을 결정한 것으로도 보인다.
물가상승, 금리인상 등 금융시장 환경이 불확실한 데다 새 국제회계기준까지 도입되면 건전성 지표를 관리하는 게 더욱 힘들어질 수 있다.
이날 오전 최정욱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은행 주간 보고서를 내고 “우리금융지주 주식이 17일 시간외거래로 약 2300만 주 거래되었는데 보험사가 당일에 약 3057억 원어치 매도한 것으로 나타난다”며 “한화생명이 보유하고 있던 우리금융지주 지분을 전량 매각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차화영 기자
20일 한화생명 관계자는 “장기적 자산 포트폴리오 차원에서 주식 매각을 블록딜 형태로 진행했다”며 “매각가는 종가기준으로 3천억여 원이다”고 밝혔다.

▲ 여승주 한화생명 대표이사 사장.
한화생명은 우리금융지주 지분 3.16% 및 사외이사 추천권을 보유하고 있는 과점 주주 중 한 곳이었는데 17일 보유지분 전량을 외국인 투자자에 블록딜 형태로 모두 매각했다.
매수자가 구체적으로 몇 곳인지는 비밀유지 계약 등 밝히지 않고 있다.
한화생명은 2023년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을 앞두고 재무건전성을 개선하기 위해 이번 지분 매각을 결정한 것으로도 보인다.
물가상승, 금리인상 등 금융시장 환경이 불확실한 데다 새 국제회계기준까지 도입되면 건전성 지표를 관리하는 게 더욱 힘들어질 수 있다.
이날 오전 최정욱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은행 주간 보고서를 내고 “우리금융지주 주식이 17일 시간외거래로 약 2300만 주 거래되었는데 보험사가 당일에 약 3057억 원어치 매도한 것으로 나타난다”며 “한화생명이 보유하고 있던 우리금융지주 지분을 전량 매각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