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고려아연 주식의 매수의견이 유지됐다.

유럽과 북미 아연 제련소 생산 병목현상이 지속돼 고려아연의 아연 제련수수료(TC)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고려아연 주식 매수의견 유지, "아연 제련수수료 수입 증가 예상"

▲ 최윤범 고려아연 대표이사 부회장.


변종만 NH투자증권 연구원은 30일 고려아연 목표주가 69만 원과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직전 거래일인 27일 고려아연 주가는 57만6천 원에 장을 마감했다.

변 연구원은 "에너지 가격 상승에 따른 전력 비용 증가로 유럽과 북미 아연 제련소의 생산 병목현상(Bottleneck)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2021년 가을에는 중국발 석탄 가격 급등, 2022년 들어서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에너지 가격이 올라 전력비가 크게 상승했다.

이에 따른 전력비용 부담에 유럽과 북미의 아연 제련소는 가동률을 낮춰 대응했다. 이로 인해 아연 제련수수료(TC)와 아연 금속 가격이 함께 급등했다.

변 연구원은 "아연 금속의 생산 제약은 아연 가격 하락을 제한하고 제련소의 제련수수료(TC) 수입을 증가시킬 것"이라고분석했다.

고려아연이 신사업에 진출하는 것도 기업 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됐다.

변 연구원은 "고려아연은 올해 10월 EV(전기차)용 동박 생산에 이은 2차전지 전구체, 폐배터리 리사이클 사업 진출 등을 통해 성장을 추구한다"며 "신재생에너지 및 수소사업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전환도 장기적 투자포인트다"고 바라봤다.

고려아연은 2022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10조7040억 원, 영업이익 1조1460억 원을 거둘 것으로 예상됐다. 2021년과 비교해 매출은 7.3%, 영업이익은 4.6% 늘어나는 것이다. 허원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