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미래에셋생명이 1분기 순이익을 크게 늘렸다.
지난해 1분기 실적에 반영된 일회성 비용에 따른 기저효과로 분석된다.
미래에셋생명은 1분기 연결기준으로 영업이익 291억 원, 당기순이익 176억 원을 냈다고 13일 발표했다.
2021년 1분기와 비교해 영업이익은 1079%, 당기 순이익은 1만5516% 각각 증가했다.
미래에셋생명은 지난해 1분기 실적에 보험 신계약 제도 변경으로 발생한 일회성 비용이 반영됐던 기저효과로 올해 1분기 순이익이 크게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1분기 말 기준 자본 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비율(RBC)은 지난해 말과 비교해 23.5%포인트 떨어진 181.4%로 나타났다.
미래에셋생명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금리 상승에 따라 지급여력금액이 감소한 영향”이라고 말했다. 정희경 기자
지난해 1분기 실적에 반영된 일회성 비용에 따른 기저효과로 분석된다.

▲ 미래에셋생명로고
미래에셋생명은 1분기 연결기준으로 영업이익 291억 원, 당기순이익 176억 원을 냈다고 13일 발표했다.
2021년 1분기와 비교해 영업이익은 1079%, 당기 순이익은 1만5516% 각각 증가했다.
미래에셋생명은 지난해 1분기 실적에 보험 신계약 제도 변경으로 발생한 일회성 비용이 반영됐던 기저효과로 올해 1분기 순이익이 크게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1분기 말 기준 자본 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비율(RBC)은 지난해 말과 비교해 23.5%포인트 떨어진 181.4%로 나타났다.
미래에셋생명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금리 상승에 따라 지급여력금액이 감소한 영향”이라고 말했다. 정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