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SK이노베이션의 화학사업 자회사 SK지오센트릭(옛 SK종합화학)이 플라스틱 쓰레기를 재활용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SK지오센트릭은 국내 최초로 플라스틱 쓰레기를 열분해해 얻은 정제유를 석유정제품의 원료로 재활용하는 방법을 개발해 환경부의 인증을 받았다고 5일 밝혔다.
SK지오센트릭은 한국기후변화연구원(KRIC)과 함께 플라스틱 쓰레기를 열분해하고 후처리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감축량을 측정하는 절차와 기준을 담은 방법론을 공동 개발했다.
이 기술은 플라스틱 순환경제를 위한 핵심기술로 손꼽히는데 이 기술을 활용하면 비닐 등 플라스틱 쓰레기를 무산소 상태에서 300~500℃의 고온으로 가열해 얻은 열분해유를 불순물을 제거하는 후처리 과정을 거쳐 납사, 경유 등 다양한 석유화학 제품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SK지오센트릭은 플라스틱 쓰레기 1톤을 열분해유로 재활용하면 기존 소각했을 때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최대 2.7톤가량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SK지오센트릭은 2025년까지 울산에 21만5천㎡ 규모의 부지에 플라스틱 쓰레기 재활용 클러스터를 조성한 뒤 연간 플라스틱 쓰레기 20만 톤가량을 처리하는 시설을 세우기로 했다.
이 시설을 통해 연간 40만~50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SK지오센트릭 관계자는 "환경부의 열분해유 방법론 승인으로 탄소저감 친환경사업을 지속해서 추진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해결을 통해 탄소 발생량 감축에 기여하고 플라스틱 순환경제 구축을 가속하겠다"고 말했다. 최영찬 기자
SK지오센트릭은 국내 최초로 플라스틱 쓰레기를 열분해해 얻은 정제유를 석유정제품의 원료로 재활용하는 방법을 개발해 환경부의 인증을 받았다고 5일 밝혔다.

▲ SK지오센트릭은 국내 최초로 플라스틱 쓰레기를 열분해해 얻은 정제유를 석유정제품의 원료로 재활용하는 방법을 개발해 환경부의 인증을 받았다고 5일 밝혔다. 사진은 플라스틱 쓰레기를 재활용해 만든 열분해유. < SK지오센트릭 >
SK지오센트릭은 한국기후변화연구원(KRIC)과 함께 플라스틱 쓰레기를 열분해하고 후처리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감축량을 측정하는 절차와 기준을 담은 방법론을 공동 개발했다.
이 기술은 플라스틱 순환경제를 위한 핵심기술로 손꼽히는데 이 기술을 활용하면 비닐 등 플라스틱 쓰레기를 무산소 상태에서 300~500℃의 고온으로 가열해 얻은 열분해유를 불순물을 제거하는 후처리 과정을 거쳐 납사, 경유 등 다양한 석유화학 제품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SK지오센트릭은 플라스틱 쓰레기 1톤을 열분해유로 재활용하면 기존 소각했을 때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최대 2.7톤가량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SK지오센트릭은 2025년까지 울산에 21만5천㎡ 규모의 부지에 플라스틱 쓰레기 재활용 클러스터를 조성한 뒤 연간 플라스틱 쓰레기 20만 톤가량을 처리하는 시설을 세우기로 했다.
이 시설을 통해 연간 40만~50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SK지오센트릭 관계자는 "환경부의 열분해유 방법론 승인으로 탄소저감 친환경사업을 지속해서 추진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해결을 통해 탄소 발생량 감축에 기여하고 플라스틱 순환경제 구축을 가속하겠다"고 말했다. 최영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