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정부가 신약개발 등 제약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지원정책을 내놨다.
보건복지부는 4일 열린 ‘2022년 제1회 제약산업 육성·지원위원회’에서 2022년 제약산업 육성·지원 시행계획을 심의 및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에 따라 정부는 올해 신약 연구개발, 인력 양성, 수출지원, 제도개선 등 4개 분야에서 152개 세부과제를 추진하고 이를 위해 8777억 원을 투입한다.
먼저 신약개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지원 예산을 지난해 451억 원에서 올해 1342억 원으로 늘린다. 특히 코로나19 등 감염병 치료제·백신을 개발하는 데 973억 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혁신 신약·백신 개발을 위한 임상시험을 추진하는 기업에 대한 적극적 투자를 위해 5천억 원 규모 펀드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올해 펀드에 투입되는 예산은 500억 원에 이른다.
이밖에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정 전문인력 양성센터 구축 및 관련 교육 프로그램 운영, 미국시장 진출을 위한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 내 공유 사무실 마련 등의 과제를 위한 예산도 편성됐다.
이번 계획은 정부가 앞서 수립한 제2차 제약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2017~2022년)에 따른 마지막 연도 시행계획이다. 정부는 매 5년마다 제약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2023~2027년까지 시행할 제3차 종합계획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해 올해 말 제약산업 육성·지원위원회에서 심의·확정하기로 했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올해는 다음 5년 동안 시행할 3차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중요한 시기다”며 “우리나라가 제약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민관의 다양한 주체가 적극적으로 협력해 제2차 종합계획의 성과와 한계를 철저하게 분석하고 향후 추진할 핵심 추진과제를 도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한솔 기자
보건복지부는 4일 열린 ‘2022년 제1회 제약산업 육성·지원위원회’에서 2022년 제약산업 육성·지원 시행계획을 심의 및 확정했다고 밝혔다.

▲ 보건복지부 로고.
이번 계획에 따라 정부는 올해 신약 연구개발, 인력 양성, 수출지원, 제도개선 등 4개 분야에서 152개 세부과제를 추진하고 이를 위해 8777억 원을 투입한다.
먼저 신약개발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지원 예산을 지난해 451억 원에서 올해 1342억 원으로 늘린다. 특히 코로나19 등 감염병 치료제·백신을 개발하는 데 973억 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혁신 신약·백신 개발을 위한 임상시험을 추진하는 기업에 대한 적극적 투자를 위해 5천억 원 규모 펀드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올해 펀드에 투입되는 예산은 500억 원에 이른다.
이밖에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정 전문인력 양성센터 구축 및 관련 교육 프로그램 운영, 미국시장 진출을 위한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 내 공유 사무실 마련 등의 과제를 위한 예산도 편성됐다.
이번 계획은 정부가 앞서 수립한 제2차 제약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2017~2022년)에 따른 마지막 연도 시행계획이다. 정부는 매 5년마다 제약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2023~2027년까지 시행할 제3차 종합계획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해 올해 말 제약산업 육성·지원위원회에서 심의·확정하기로 했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올해는 다음 5년 동안 시행할 3차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중요한 시기다”며 “우리나라가 제약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민관의 다양한 주체가 적극적으로 협력해 제2차 종합계획의 성과와 한계를 철저하게 분석하고 향후 추진할 핵심 추진과제를 도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