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JB금융지주가 은행과 비은행 계열사의 고른 성장에 힘입어 1분기에 역대 최대 순이익을 거뒀다.
JB금융지주는 2022년 1분기에 순이익 1668억 원을 냈다고 26일 밝혔다. 2021년 1분기와 비교해 26%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경영지표부문에서는 지배지분 자기자본이익률(ROE) 16%, 총자산이익률(ROA) 1.20%를 기록하며 동일업종 최고 수준의 수익성 지표를 유지했다고 JB금융지주는 설명했다.
경영효율성 지표인 영업이익경비율(CIR)은 2021년 1분기보다 6.1%포인트 개선된 38.8%를 기록했다. 역대 최저치다.
보통주자본비율은 10.24%를 보였다.
그룹 계열사들 모두 수익성 중심의 내실경영을 바탕으로 양호한 실적을 보였다.
전북은행은 2021년 1분기보다 26.3% 증가한 544억 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광주은행의 순이익은 635억 원으로 1년 전보다 22.4% 증가했다.
JB우리캐피탈은 2021년보다 30.4% 증가한 589억 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JB자산운용은 순이익 25억 원을 거뒀다. 지주의 손자회사인 캄보디아 프놈펜상업은행(PPCBank)은 82억 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차화영 기자
JB금융지주는 2022년 1분기에 순이익 1668억 원을 냈다고 26일 밝혔다. 2021년 1분기와 비교해 26%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 김기홍 JB금융지주 대표이사 회장.
경영지표부문에서는 지배지분 자기자본이익률(ROE) 16%, 총자산이익률(ROA) 1.20%를 기록하며 동일업종 최고 수준의 수익성 지표를 유지했다고 JB금융지주는 설명했다.
경영효율성 지표인 영업이익경비율(CIR)은 2021년 1분기보다 6.1%포인트 개선된 38.8%를 기록했다. 역대 최저치다.
보통주자본비율은 10.24%를 보였다.
그룹 계열사들 모두 수익성 중심의 내실경영을 바탕으로 양호한 실적을 보였다.
전북은행은 2021년 1분기보다 26.3% 증가한 544억 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광주은행의 순이익은 635억 원으로 1년 전보다 22.4% 증가했다.
JB우리캐피탈은 2021년보다 30.4% 증가한 589억 원의 순이익을 기록하며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JB자산운용은 순이익 25억 원을 거뒀다. 지주의 손자회사인 캄보디아 프놈펜상업은행(PPCBank)은 82억 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