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SK케미칼이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 조정위원회의 최종안을 수용함에 따라 최대 1583억 원을 지불할 것으로 예상됐다.
SK케미칼은 28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를 위한 조정위원회의 최종안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
SK케미칼은 “조정안은 피해자 단체의 50%와 참여기업(9곳)이 동의할 때 이해관계자가 합의한 것으로 간주돼 성립된다”며 “이후 조정 대상자 50% 이상이 기한 안에 동의할 때 조정안의 효력이 발생된다”고 설명했다.
조정안이 성립됐을 때 SK케미칼의 분담금 규모는 최대 1583억 원으로 추산됐다.
이는 SK케미칼의 2021년 연결기준으로 자산의 4%, 자본의 6.2% 규모다.
SK케미칼은 “가습기살균제 피해 구제를 위한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한 지원”이라며 “조정안 성립 및 발효에 따른 분담금 집행 시기는 올해 7월 이후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장은파 기자
SK케미칼은 28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가습기살균제 피해구제를 위한 조정위원회의 최종안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

▲ SK케미칼 로고.
SK케미칼은 “조정안은 피해자 단체의 50%와 참여기업(9곳)이 동의할 때 이해관계자가 합의한 것으로 간주돼 성립된다”며 “이후 조정 대상자 50% 이상이 기한 안에 동의할 때 조정안의 효력이 발생된다”고 설명했다.
조정안이 성립됐을 때 SK케미칼의 분담금 규모는 최대 1583억 원으로 추산됐다.
이는 SK케미칼의 2021년 연결기준으로 자산의 4%, 자본의 6.2% 규모다.
SK케미칼은 “가습기살균제 피해 구제를 위한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기 위한 지원”이라며 “조정안 성립 및 발효에 따른 분담금 집행 시기는 올해 7월 이후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장은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