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이 조선업과 해운업 구조조정과 관련해 입을 손실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11일 BNK금융지주에 따르면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은 조선과 해운업체에 대한 여신을 다른 금융회사보다 상대적으로 적게 보유하고 있다.

  "부산은행 경남은행, 조선해운 리스크 영향 적다"  
▲ 성세환 BNK금융지주 회장 겸 부산은행장.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은 2016년 3월 말 기준으로 조선업종 여신 2조2180억 원, 해운업종 여신 6042억 원을 보유하고 있다. 조선업종의 여신규모는 전체 여신의 3.4%, 해운업종의 여신규모는 전체 여신의 0.9% 수준이다.

BNK금융은 담보설정과 충당금적립도 충분하다는 입장을 보였다.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의 담보 및 충당금적립비율은 조선업 63.3%, 해운업 38.8%다.

박영봉 BNK금융 부사장은 “BNK금융과 거래하는 해운업체의 경우 대부분 중소규모 선단을 운용한다”며 “선박에 대한 담보취득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는 점에서 현대상선과 한진해운과는 상황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조선 및 해운업체와 관련된 BNK금융의 여신규모는 960억 원 정도인데 이 역시 담보취득, 충당금적립 등 선제적 조치를 취해 놓아 여신이 부실화되더라도 은행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강조했다.

BNK금융은 1분기에 연결기준으로 순이익 1590억 원을 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2% 증가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