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SK텔레콤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5G통신 이용자 비중 확대로 가입자당 평균 매출이 증가하고 IPTV와 초고속인터넷 부문 성장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SK텔레콤 목표주가 높아져, "5G통신 가입자 늘고 주주환원 개선"

▲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 사장.


김장원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24일 SK텔레콤 목표주가를 기존 7만 원에서 7만5천 원으로 높여 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로 유지했다.

23일 SK텔레콤 주가는 5만8100원에 장을 마감했다.

김 연구원은 "5G통신 보급률이 30% 초반에 그쳐 상승여력이 여전히 높고 IPTV와 초고속인터넷 가입자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며 "2021년 10%에 가까운 매출 증가를 기록했던 B2B(기업간 거래)부문도 이를 뛰어넘는 성장이 예상된다"고 바라봤다. 

2021년 말 기준 SK텔레콤의 5G통신 가입자는 987만 명으로 2020년 말과 비교해 80.3% 증가하면서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전체 무선통신 가입자 수는 3188만 명으로 같은 기간 1.6% 늘었다. 유료방송 가입자는 케이블TV 286만 명으로 2.3% 감소했지만 IPTV가입자는 614만 명으로 8.5% 증가했다.

SK텔레콤의 지난해 가입자당 평균매출(ARPU)은 3만517원으로 2020년보다 0.7% 증가했다.

김 연구원은 "매출 증가와 함께 영업비용도 증가하지만 2021년 실적에서 확인할 수 있듯 매출 증가세가 더 우세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특히 지난해는 회사를 분할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늘어난 비용도 있어 올해 수익성 개선의 여지가 크다"고 바라봤다.

SK텔레콤의 주주환원 정책도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SK텔레콤이 배당을 이익에 기반해 지급하는 것으로 정책을 바꿨지만 배당금이 작년보다 줄어들 가능성은 거의 없으며 이익전망을 고려했을 때 오히려 배당금은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SK텔레콤이 비통신사업 계열사를 분할한 점도 통신을 기반한 융합 사업에 주도적으로 나서면서 성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힌다.

김 연구원은 "기존 사업의 안정성에 성장동력이 추가되면서 기업가치를 재평가할 필요성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SK텔레콤은 2022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17조2710억 원, 영업이익 1조586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1년과 비교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3.1%, 14.3% 늘어나는 것이다. 공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