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부동산시장에 관한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 10명 가운데 6명은 2022년에도 집값이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공인중개업 종사자들은 대출규제, 매매가격 부담 등의 이유로 집값이 하락할 것으로 바라봤다.
20일 KB경영연구소의 ‘2022 KB 부동산보고서’에 따르면 1월5일부터 11일까지 건설·시행·금융·학계 등 분야의 부동산 전문가 161명과 공인중개사 5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부동산 전문가의 64%는 올해 집값이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수도권 아파트값을 두고는 전문가 응답자의 74%가 상승을 점쳤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공급물량 부족(25%), 대선 뒤 정책변화(16%), 정부 규제강화에 따른 매물감소(14%) 등을 근거로 제시했다.
다만 전문가의 3분의 1은 2022년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률이 3% 안팎일 것으로 바라봤다.
공인중개사들은 올해 집값이 내려간다고 보는 비중이 높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설문에 참여한 공인중개사의 63%가 올해 주택매매시장 전망을 묻는 질문에 ‘하락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수도권에서 일하는 중개사의 54%, 비수도권 중개사의 53%가 집값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하락 폭은 3% 이내로 전망한 공인중개사(38%)가 가장 많았다.
KB경영연구소는 2022년 주택가격이 완만한 조정 국면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바라봤다.
KB경영연구소는 “주택이라는 자산에 관한 시장의 신뢰가 높다”며 “외환위기와 같은 충격이 없다면 집값이 급락할 요인은 적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혜린 기자]
부동산 전문가 10명 가운데 6명은 2022년에도 집값이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공인중개업 종사자들은 대출규제, 매매가격 부담 등의 이유로 집값이 하락할 것으로 바라봤다.

▲ 한강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20일 KB경영연구소의 ‘2022 KB 부동산보고서’에 따르면 1월5일부터 11일까지 건설·시행·금융·학계 등 분야의 부동산 전문가 161명과 공인중개사 5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부동산 전문가의 64%는 올해 집값이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수도권 아파트값을 두고는 전문가 응답자의 74%가 상승을 점쳤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공급물량 부족(25%), 대선 뒤 정책변화(16%), 정부 규제강화에 따른 매물감소(14%) 등을 근거로 제시했다.
다만 전문가의 3분의 1은 2022년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률이 3% 안팎일 것으로 바라봤다.
공인중개사들은 올해 집값이 내려간다고 보는 비중이 높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설문에 참여한 공인중개사의 63%가 올해 주택매매시장 전망을 묻는 질문에 ‘하락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수도권에서 일하는 중개사의 54%, 비수도권 중개사의 53%가 집값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하락 폭은 3% 이내로 전망한 공인중개사(38%)가 가장 많았다.
KB경영연구소는 2022년 주택가격이 완만한 조정 국면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바라봤다.
KB경영연구소는 “주택이라는 자산에 관한 시장의 신뢰가 높다”며 “외환위기와 같은 충격이 없다면 집값이 급락할 요인은 적은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