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그래픽처리장치(GPU) 설계회사 엔비디아가 영국 중앙처리장치(CPU)코어 설계회사 ARM을 인수하는 작업이 무산됐다.

파이낸셜타임즈(FT)는 8일 엔비디아와 ARM의 인수합병 협상을 잘 알고 있는 다수의 취재원을 인용해 “엔비디아의 ARM 인수작업이 미국, 영국, 유럽연합 규제당국의 독점에 대한 우려 속에서 좌초됐다”고 보도했다.
 
파이낸셜타임즈 "엔비디아의 ARM 인수 무산, 위약금 12억 달러 추산"

▲ 엔비디아 로고(왼쪽)과 ARM 로고.


엔비디아는 이번 인수협상 실패로 ARM을 소유한 일본 소프트뱅크에 거액의 위약금을 물어줄 상황에 처했다.

파이낸셜타임즈는 익명의 취재원을 인용해 소프트뱅크가 최대 12억5천만 달러의 위약금을 받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또 소프트뱅크가 올해 말까지 ARM을 기업공개(IPO)하고 추후 매각할 것으로 보인다고도 전했다.

앞서 엔비디아는 2020년 9월 소프트뱅크로부터 ARM을 400억 달러(약 47조9200억 원)에 인수하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발표 후 영국, 미국, 유럽연합(EU) 등 각국 정부 당국로부터 반대에 부딪혔다.

2021년 영국 경쟁시장청(CMA)은 엔비디아의 ARM 인수에 대한 1단계 조사 결과를 공개하면서 “경쟁 측면에서 심각한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그 후 영국의 디지털문화미디어스포츠부는 반독점과 국가안보에 대한 우려로 2단계 조사를 진행하겠다고 발표했다.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는 지난달 엔비디아의 ARM 인수가 데이터센터와 자율주행기술 등의 분야에서 혁신과 경쟁을 억제할 수 있다며 인수 반대소송을 냈다.

인텔,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대형 IT기업들도 거래 무산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정보를 규제당국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파이낸셜타임즈는 이번 거래가 성사됐다면 반도체 분야 사상 최대규모로 엔비디아가 세계 대부분의 모바일 기기의 핵심기술을 장악하게 됐을 것이라고 짚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