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면식 한국은행 부총재보가 국책은행의 자본확충을 지원하려면 국민적 합의부터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정부에서 추진 중인 ‘선별적 양적완화’에 사실상 선을 그은 것으로 보인다.
![]() |
||
▲ 윤면식 한국은행 부총재보가 29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기자실에서 열린 통화신용정책보고서 브리핑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대답하고 있다. <뉴시스> |
그는 “기업 구조조정이 한국경제의 중장기적 성장에 필요한 과제라는 점에 공감하지만 국책은행의 자본확충이 시급하다는 점에 대해 견해가 다를 수 있다”며 “아무리 급하더라도 정당한 절차를 거치는 쪽이 중앙은행의 기본원칙에 부합한다”고 말했다.
정부와 금융위원회는 한국은행에서 KDB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에 출자하는 방안을 적극 논의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도 ‘선별적 양적완화’를 언급하며 지원사격에 나섰다.
이에 대해 윤 부총재보는 “한국판 양적완화, 선별적 양적완화란 표현이 나오는데 이것은 통화정책을 수행하는 중앙은행에서 말하는 양적완화와 다른 내용”이라며 “통화정책은 선별적 지원을 기본적으로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는 정부에서 논의 중인 한국은행의 산업은행 출자나 발행채권 인수 등을 원칙상 시행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윤 부총재보는 국민적 합의의 요건으로 산업은행법·한국은행법 등 관련 법안의 개정이나 국회의 동의를 제시해 여지를 남겼다.
윤 부총재보는 한국은행 내부에서 기업 구조조정에 대한 지원 대책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상황 전개에 따라 정상적인 중소기업까지 신용경색에 빠져 자금을 조달하기 어려워지면 금융중개지원대출을 확대할 수 있다”며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면 시장의 유동성을 공급하는 공개시장운영 형태의 대응방안을 강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윤 부총재보는 기업 구조조정을 지원하기 위한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도 내비쳤다. 기업 구조조정이 본격화될 6~7월에 금리를 내릴 수 있다는 일각의 전망에도 힘이 실리고 있다.
그는 “금리정책과 금융중개지원대출 등 신용정책은 함께 시행할 수 있는 보완적 정책”이라며 “구조개혁은 안정적인 거시경제여건 아래 원활하게 이뤄지는데 같은 맥락에서 구조개혁을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