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온 주식 매수의견이 유지됐다.

내년 중국 법인의 성장세는 둔화하지만 베트남과 러시아 법인이 실적이 성장해 오리온의 전체 실적 개선을 이끌 것으로 전망됐다. 
 
오리온 주식 매수의견 유지, "내년 베트남과 러시아에서 실적 이끌어"

▲ 이승준 오리온 대표이사 사장 내정자.


심은주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28일 오리온 주식 목표주가를 17만 원, 매수의견(BUY)를 각각 유지했다.

27일 오리온 주가는 10만4천 원에 거래를 마쳤다.

심 연구원은 “내년 중국 법인은 매출 성장 둔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베트남 및 러시아 법인의 매출은 올해 실적 추정치보다 두 자릿수 성장하며 성장을 견인할 것이다”고 바라봤다. 

내년 중국 법인은 올해 1분기 높은 실적을 거둔 데 따른 역기저 효과와 중국 내수소비 부진 지속, 제한적 판매가격 인상 등에 영향을 받아 현지 통화 기준으로 올해보다 4% 안팎의 매출 성장률을 보이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됐다. 

베트남과 러시아 법인은 올해 4분기부터 보이는 실적 호조세를 내년에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베트남과 러시아 법인 매출은 올해 4분기에 각각 17%, 40% 늘어날 것으로 추산됐다. 

베트남은 코로나19로 영향으로 지역봉쇄 조치가 완화하면서 생산과 유통이 빠르게 회복되고 있으며 러시아는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4분기에는 베트남과 러시아 법인 뿐만 아니라 국내와 중국 법인도 좋은 실적을 낸 것으로 추정됐다.

국내에서는 신제품 판매 호조에 힘입어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매출이 5% 성장할 것으로 추정됐다. 

중국 법인 매출은 지난해 4분기보다 10.1% 늘어날 것으로 추산됐다. 12월에 2022년 춘절 물량 판매가 이뤄지고 초코파이 판매가격 인상효과도 반영된 데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오리온은 올해 4분기에 시장의 기대치에 부합하는 수준의 실적을 낸 것으로 예상됐다. 

오리온은 4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6411억 원, 영업이익 1084억 원을 낼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매출은 11%, 영업이익은 27.4% 늘어나는 것이다. 

오리온은 2021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2조3702억 원, 영업이익 3796억 원을 낼 것으로 추정됐다. 2020년보다 매출은 6.3%, 영업이익은 0.9% 증가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지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