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우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이 금융사들이 손실 예방을 위해 기후위기 대응 체계를 미리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부원장은 10일 이화여자대학교에서 금감원과 금융위원회가 공동으로 연 ‘금융권 기후리스크 심포지엄’에서 축사를 통해 “금융권도 저탄소 경제로 전환을 위한 자금 지원 등의 역할을 하겠지만 그에 앞서 기후리스크 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금감원 수석부원장 "기후리스크 관리 못하면 금융시장 전체로 확대"

▲ 이찬우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


이 부원장은 “기후리스크가 적절히 관리되지 못하면 금융시장 전체의 시스템 리스크로 확대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기후리스크란 이상 기후 현상에 따른 물적 피해인 물리적 리스크와 저탄소 사회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금융손실인 이행 리스크로 구분된다.

이 부원장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상품을 제조, 수출하는 비중이 높은 우리 경제 시스템에서는 탄소중립 전략이 본격화되면 기업의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며 “이는 고스란히 해당 기업에 대출이나 투자를 한 금융사의 손실로 연계될 수 있어 금융사들도 관리 시스템을 사전적으로 구축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2020년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에 기초해 ‘파일럿 기후 스트레스테스트’를 시행하고 금융사의 기후리스크 관리 지원을 위한 기후리스크 지침서를 발간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