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왼쪽부터)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과 스베인 그란덤 주한 노르웨이 대사관 상무참사관, 임한규 한국수입차협회 부회장, 최현기 컨슈머인사이트 수석, 황우현 제주에너지공사 사장이 16일 밀레니엄 힐튼 서울 호텔에서 '2021 한국수입차협회 오토모티브' 포럼에 참석한 뒤에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수입차협회>
한국수입차협회는 16일 밀레니엄힐튼서울호텔에서 ‘글로벌 전기차시장 및 소비자 트렌드’라는 주제로 한 ‘2021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 오토모티브’ 포럼을 열었다.
이날 행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동시에 진행됐다.
행사에는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 페터 돌레시 유럽자동차제작자협회 모빌리티 및 지속가능 운송부처 이사, 스베인 그란덤 주한 노르웨이 대사관 상무참사관, 최현기 컨슈머인사이트 수석, 황우현 제주에너지공사 사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행사 좌장을 맡은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위원은 2050 탄소중립 계획과 4차 친환경차 기본계획 등의 정책을 기반으로 국내 전기차시장과 관련해 전망했다.
이 연구위원은 “국내 자동차업계가 상시적 생활충전환경 조성과 친환경차 세제혜택 연장 등 소비자를 위한 사회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며 “탄소배출 감소를 위한 기술적 혁신 등을 탄소중립 생태계로 전환을 위한 필요 과정”이라고 말했따.
유럽자동차제작자협회 페터 돌레시 이사는 유럽 자동차업계가 유럽연합의 ‘그린딜 계획’을 바탕으로 자동차산업 전체 가치사슬의 구조적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전기차 가격이나 충전 인프라 부족 등이 현재 전기차시장 성장에 걸림돌인 만큼 국가적 차원에서 대응이 필요하다고 들었다.
스베인 그란덤 노르웨이 대사관 상무참사관은 노르웨이 전동화계획과 소비자 사례 등을 설명했다.
노르웨이는 전기차를 구매할 때 세금 등을 감면할 뿐 아니라 전기차 이용자들은 주차장 무료 이용 등의 혜택을 지원해 소비자들에게 전기차를 구매할 요인을 강화했다고 말했다.
그는 노르웨이 사례에 비춰 전기차 구매세금 감면, 주차 및 교통비용 감면, 실주행차량 대수에 비례하는 충전소 건설 등 더욱 포괄적 지원계획이 전기차시장 성장에 필요하다고 봤다.
최현기 컨슈머인사이트 수석은 소비자 조사데이터를 바탕으로 국내 전기차시장의 특성과 소비자 동향을 소개했다.
최 수석은 “짧은 주행거리, 긴 충전시간, 충전 인프라 부족 등이 소비자 유인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며 “성장기 진입을 앞둔 국내 전기차 시장에 충전 인프라의 확대와 여러 브랜드의 적극적인 시장 공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은파 한국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