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저축은행이 대출업무 등과 관련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재를 받았다.

금융감독원에 한국투자저축은행의 자본 적정성과 대출 관리 문제를 지적하며 경영유의 7건, 개선 2건의 조치를 내렸다고 9일 밝혔다.
 
금감원 한국투자저축은행에 경영유의 제재, "리스크 관리방안 미흡"

▲ 한국투자저축은행 로고.


금감원은 한국투자저축은행의 가계신용대출 잔액이 2019년 상반기 9861억 원에서 2021년 상반기 1조6868억 원까지 71%가량 급증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금감원은 “위험가중자산이 급증했음에도 이에 상응하는 중장기 리스크 관리 방안이 구체적으로 마련돼 있지 않다”며 “경기 변동 및 영업여건 악화 등을 대비한 구체적 자본확충 계획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국투자저축은행 신용평가시스템(CCS)의 변별력이 떨어진다는 점도 지적을 받았다.

한국투자저축은행 가계신용대출 상품의 신용등급별 부도율은 다수의 등급에서 역전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또 대출원가를 산정할 때 업무 원가에서 5년 전 수치를 적용하는 등 정확한 원가율 반영이 이뤄지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투자저축은행의 여신감리 기능도 문제가 됐다.

금감원은 “한국투자저축은행의 여신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감리인력 부족과 감리업무 미전산화 등을 이유로 여신감리 대상 가운데 부실채권 및 부실우려채권에 대한 감리를 수행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