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서울에서 6억 원 이하 아파트 거래비중이 올해 월간 최고치를 보였다.
정부의 부동산대출과 세금 규제의 영향으로 풀이됐다.
31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통계를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10월 들어 28일까지 등록된 서울 아파트 매매 계약 건수는 930건, 매매 가격 6억 원 이하는 37.3%(347건)으로 조사됐다.
서울 6억 원 이하 아파트 매수비중은 올해 1∼6월 30% 안팎을 오르내리다가 7∼9월 20% 안팎 수준으로 낮아졌다가 10월 최고 수치를 보였다.
거래 등록신고 기한(30일)을 고려하면 6억 원 이하 아파트 매매건수는 변동이 있겠지만 매매비중 추이가 바뀌기는 어렵다는 시선이 나온다.
10월 마지막 주에 서울 6억 원 이하 아파트 매매비중은 일별로 40% 가까운 수준을 이어갔다.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총량 규제방침에 따라 9월부터 시중은행에서 본격적으로 대출을 축소·중단하거나 대출금리를 인상하자 6억 원 이하의 중저가 아파트에 매수 쏠림현상이 나타난 결과로 풀이된다.
최근 정부는 내년부터 총대출액 2억 원을 넘는 대출자를 대상으로 개인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적용하는 것을 뼈대로 한 가계부채 관리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보금자리론을 비롯한 정책서민금융상품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산정 때 총대출액 계산에서 제외됐다.
이 때문에 대출규제를 피해간 시세 6억 원 이하 아파트 매수비율 증가세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고가주택이 많은 서울의 거래량이 점차 위축되는 숨 고르기가 이어지는 가운데서도 상환능력 부담과 여신규제가 덜한 소형면적이나 6억 원 이하 중저가 아파트의 매수가 증가하는 형태가 지속될 수 있다"고 바라봤다.
한편 1억 원 이하 아파트의 매수비중은 1.7%를 보여 올해 들어 처음으로 1%대로 올라선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2020년 7.10대책을 통해 다주택자와 법인의 주택 취득세를 기존 1∼3%에서 최대 12%로 높이기로 했는데 공시가격 1억 원 미만의 주택은 중과대상에서 제외하고 기본 취득세율 1.1%(농어촌특별세 및 지방교육세 포함)를 적용하도록 했다.
여기에 대출규제에 따른 풍선효과까지 맞물리면서 매수 쏠림현상이 거세진 것으로 보인다.
서울의 1억 원 초과∼3억 원 이하, 3억 원 초과∼6억 원 이하 아파트 매수 비중도 각각 9.5%, 26.1%를 보여 역시 올해 월간 단위로 가장 높았다.
이런 가운데 민간 시세조사업체인 부동산R114가 조사한 서울의 아파트 매매 시세 6억 원 이하 가구 수는 올해 1월 초 25만9085가구에서 이달 말 13만9233가구로 46.4% 떨어졌다.
이는 부동산114가 시세를 조사한 전체 가구 수의 11.2% 수준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안정문 기자]
정부의 부동산대출과 세금 규제의 영향으로 풀이됐다.

▲ 서울 강남구와 송파구 지역 아파트. <연합뉴스>
31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통계를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10월 들어 28일까지 등록된 서울 아파트 매매 계약 건수는 930건, 매매 가격 6억 원 이하는 37.3%(347건)으로 조사됐다.
서울 6억 원 이하 아파트 매수비중은 올해 1∼6월 30% 안팎을 오르내리다가 7∼9월 20% 안팎 수준으로 낮아졌다가 10월 최고 수치를 보였다.
거래 등록신고 기한(30일)을 고려하면 6억 원 이하 아파트 매매건수는 변동이 있겠지만 매매비중 추이가 바뀌기는 어렵다는 시선이 나온다.
10월 마지막 주에 서울 6억 원 이하 아파트 매매비중은 일별로 40% 가까운 수준을 이어갔다.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총량 규제방침에 따라 9월부터 시중은행에서 본격적으로 대출을 축소·중단하거나 대출금리를 인상하자 6억 원 이하의 중저가 아파트에 매수 쏠림현상이 나타난 결과로 풀이된다.
최근 정부는 내년부터 총대출액 2억 원을 넘는 대출자를 대상으로 개인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적용하는 것을 뼈대로 한 가계부채 관리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보금자리론을 비롯한 정책서민금융상품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산정 때 총대출액 계산에서 제외됐다.
이 때문에 대출규제를 피해간 시세 6억 원 이하 아파트 매수비율 증가세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고가주택이 많은 서울의 거래량이 점차 위축되는 숨 고르기가 이어지는 가운데서도 상환능력 부담과 여신규제가 덜한 소형면적이나 6억 원 이하 중저가 아파트의 매수가 증가하는 형태가 지속될 수 있다"고 바라봤다.
한편 1억 원 이하 아파트의 매수비중은 1.7%를 보여 올해 들어 처음으로 1%대로 올라선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2020년 7.10대책을 통해 다주택자와 법인의 주택 취득세를 기존 1∼3%에서 최대 12%로 높이기로 했는데 공시가격 1억 원 미만의 주택은 중과대상에서 제외하고 기본 취득세율 1.1%(농어촌특별세 및 지방교육세 포함)를 적용하도록 했다.
여기에 대출규제에 따른 풍선효과까지 맞물리면서 매수 쏠림현상이 거세진 것으로 보인다.
서울의 1억 원 초과∼3억 원 이하, 3억 원 초과∼6억 원 이하 아파트 매수 비중도 각각 9.5%, 26.1%를 보여 역시 올해 월간 단위로 가장 높았다.
이런 가운데 민간 시세조사업체인 부동산R114가 조사한 서울의 아파트 매매 시세 6억 원 이하 가구 수는 올해 1월 초 25만9085가구에서 이달 말 13만9233가구로 46.4% 떨어졌다.
이는 부동산114가 시세를 조사한 전체 가구 수의 11.2% 수준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안정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