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해운 목표주가가 낮아졌다.
중국 철강 감산 등으로 벌크선 수요가 줄어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됐다.
유승우 SK증권 연구원은 22일 대한해운 목표주가를 4100원에서 3500원으로 낮춰잡고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대한해운 주가는 21일 2845원으로 거래를 끝냈다.
유 연구원은 “중국이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철강 감산기조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벌크선 수요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며 전체 벌크선 물동량 가운데 철강 생산의 원재료인 철광석과 제철용 석탄 비중이 35%에 이르며 세계 철광석 물동량의 70%가 중국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중국의 철강 생산기조는 벌크선 시황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변수“라고 분석했다.
중국 항만 적체가 해소되고 있는 점도 벌크선 시황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됐다.
유 연구원은 “중국 항만의 선박 적체가 해소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며 벌크선 수요가 줄고 공급은 늘어나는 구간이라는 점에서 발틱운임지수(BDI) 강세가 지속되기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유 연구원은 대한해운이 장기계약을 통해 안정적 이익 레벨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벌크 시황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도 방어주로서 매력을 부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바라봤다.
대한해운은 3분기에 벌크 운임 상승에 힘입어 좋은 실적을 낸 것으로 추정됐다.
유 연구원은 “대부분의 벌크선사들이 그렇듯이 대한해운도 올해 3분기에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해 큰 폭으로 실적이 좋아졌을 것”이라며 “발틱운임지수(BDI)는 2분기 평균 2793pts에서 3분기 평균 3732pts로 상승했다”고 추정했다.
대한해운은 3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2840억 원, 영업이익 639억 원을 낸 것으로 추정됐다. 2020년 3분기보다 매출은 28.9%, 영업이익은 57.9%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윤휘종 기자]
중국 철강 감산 등으로 벌크선 수요가 줄어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됐다.

▲ 김만태 대한해운 대표이사 사장.
유승우 SK증권 연구원은 22일 대한해운 목표주가를 4100원에서 3500원으로 낮춰잡고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유지했다.
대한해운 주가는 21일 2845원으로 거래를 끝냈다.
유 연구원은 “중국이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철강 감산기조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벌크선 수요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며 전체 벌크선 물동량 가운데 철강 생산의 원재료인 철광석과 제철용 석탄 비중이 35%에 이르며 세계 철광석 물동량의 70%가 중국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중국의 철강 생산기조는 벌크선 시황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변수“라고 분석했다.
중국 항만 적체가 해소되고 있는 점도 벌크선 시황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됐다.
유 연구원은 “중국 항만의 선박 적체가 해소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며 벌크선 수요가 줄고 공급은 늘어나는 구간이라는 점에서 발틱운임지수(BDI) 강세가 지속되기 힘들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유 연구원은 대한해운이 장기계약을 통해 안정적 이익 레벨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벌크 시황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도 방어주로서 매력을 부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바라봤다.
대한해운은 3분기에 벌크 운임 상승에 힘입어 좋은 실적을 낸 것으로 추정됐다.
유 연구원은 “대부분의 벌크선사들이 그렇듯이 대한해운도 올해 3분기에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해 큰 폭으로 실적이 좋아졌을 것”이라며 “발틱운임지수(BDI)는 2분기 평균 2793pts에서 3분기 평균 3732pts로 상승했다”고 추정했다.
대한해운은 3분기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2840억 원, 영업이익 639억 원을 낸 것으로 추정됐다. 2020년 3분기보다 매출은 28.9%, 영업이익은 57.9%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윤휘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