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글로비스가 올해 기아자동차 해외공장의 가동에 따른 반조립제품의 운송물량 증가에 힘입어 실적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김동하 교보증권 연구원은 3일 “현대글로비스는 올해 안정적인 성장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현대글로비스, 기아차 해외공장으로 운송 늘어 실적 성장"  
▲ 김경배 현대글로비스 사장.
현대글로비스는 올해 매출 15조5680억 원, 영업이익 7660억 원을 낼 것으로 추정됐다. 이 예상치는 지난해보다 매출은 6.1%, 영업이익은 9.7% 늘어나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기아차 멕시코공장이 가동되면 현대글로비스의 반조립제품 운송이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기아차는 중남미를 공략하기 위해 멕시코에 연간 생산량 30만 대 규모의 공장을 짓고 있다. 기아차는 5월부터 공장을 가동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글로비스는 자동차 엔진과 변속기, 패널 등 반조립제품을 현대기아차의 해외공장으로 운송하는 사업을 펼치고 있다. 지난해 현대글로비스 전체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반조립제품의 운송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37%, 46%였다.

김 연구원은 “현대글로비스 반조립제품 운송사업의 매출 가운데 약 60%가 달러 매출”이라며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수익성 개선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14년 평균 1053.22원이던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평균 1131.5원으로 올랐다. 현대글로비스 반조립제품 운송사업의 영업이익률은 2014년 4.2%에서 지난해 6%로 올랐다.

현대글로비스가 담당하는 현대기아차의 완성차 운송물량이 늘어나는 점도 실적 성장에 보탬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현대글로비스는 외국계 해운회사인 유코카캐리어스와 함께 현대기아차의 완성차 해상운송을 나눠 맡고 있다. 현대글로비스는 최근 4년 동안 현대기아차 완성차의 해상운송 물량 가운데 40%를 맡아 왔는데 앞으로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김 연구원은 “현대글로비스는 올해 현대기아차 완성차의 해상운송 물량 가운데 50%를 맡을 것”이라며 “완성차 해상운송사업의 매출이 지난해보다 8.8% 늘어날 것”이라고 추정했다.

현대글로비스는 올해 현대차그룹 외 다른 기업의 물량을 운송하는 사업을 확대해 수익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김 연구원은 “현대글로비스는 카타르 국영회사와 장기운송계약을 맺는 등 현대기아차 외 물량의 운송이 늘어날 것”이라며 “이는 수익성을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진단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헌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