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금융권의 법정 최고 대출금리를 낮추는 대부업법 개정안이 국회 정무위원회를 통과했다. 고금리 대출에 의존했던 저축은행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저축은행들은 중금리 신용대출 확대 등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순우 저축은행중앙회장도 지원사격에 나섰다.

  이순우, 저축은행업계의 수익원 발굴 지원사격  
▲ 이순우 저축은행중앙회장.
국회 정무위원회는 18일 법안심사소위원회와 전체회의를 열어 대부업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이 개정안은 현재 연 34.9%인 법정 최고 대출금리를 연 27.9%로 하향 조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대부업법 개정안은 향후 법제사법위원회와 국회 본회의 의결을 거쳐 이르면 3월부터 시행된다. 이때부터 금융회사들은 대출을 새로 내주거나 연장 또는 갱신할 때 연 27.9%를 초과하는 이자율을 적용할 수 없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법정 최고 대출금리가 연 27.9%로 내려가면 이전보다 대출 심사를 엄격하게 하면서 신용도가 낮은 고객 가운데 상당수를 정리해야 할 것”이라며 “평균 대출금리도 20%대 초중반으로 떨어져 이자수익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현재 저축은행 가운데 상당수가 신용대출 평균 금리를 연 27.9%보다 높게 매기고 있다.

주요 저축은행들의 연평균 금리를 모아보면 1월 기준으로 SBI저축은행 28.58%, OK저축은행 28.17%, HK저축은행 28.36% 등이다. OSB저축은행, 고려저축은행, 모아저축은행, 현대저축은행 등 4곳은 신용대출 평균 금리를 연 30% 이상으로 책정했다.

저축은행들은 대부업법 개정안 시행에 대비해 중금리의 신용대출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SBI저축은행은 지난해 말 출시한 모바일 전용 대출상품 ‘사이다’ 판매에 주력하고 있다. 사이다는 신용등급에 따라 연 6.9~13.5%대의 금리로 돈을 빌려준다. 이 상품은 4일 기준으로 출시된 지 2개월 만에 대출 취급액 200억 원을 넘어섰다.

JT친애저축은행은 연 12~19.9%, 웰컴저축은행은 연 13~19% 금리의 신용대출상품을 운용하고 있다. OK저축은행도 자체적인 중금리 신용대출상품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저축은행들은 대출 외의 수익원을 찾는 데에도 주력하고 있다.

JT저축은행, 웰컴저축은행, OSB저축은행, 인성저축은행 등 4곳은 지난해 금융감독원에 자동차 할부금융업을 등록하고 캐피탈 라이선스를 받았다. 이들은 금감원이 약관심사를 끝내는 대로 자동차 할부금융상품을 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자동차 할부금융은 자동차를 구입하면 캐피탈사에서 자동차 제조회사에 먼저 돈을 낸 뒤 소비자로부터 일정 기간에 걸쳐 대금을 나눠서 받는 방식이다.

SBI저축은행과 현대저축은행은 올해 항공금융 투자를 확대하기로 했다. 항공금융은 금융회사에서 비행기를 구입한 뒤 항공사에 빌려주고 임대료를 받는 투자금융(IB)사업을 뜻한다.

이순우 저축은행중앙회장은 저축은행의 수익성 강화를 지원하는 데 팔을 걷어붙였다.

이 회장은 시중은행과 저축은행의 연계영업을 추진한 끝에 1월 말 우리은행과 저축은행중앙회의 포괄적 업무협약 체결을 이끌어냈다. 저축은행들은 앞으로 우리은행에서 신용등급 문제로 대출을 받기 힘든 고객을 소개받아 중금리 신용대출 상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됐다.

이 회장은 골드바 매입 대행업무를 저축은행업계의 공동사업으로 확대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골드바 판매규모는 지난해 1767억 원으로 2년 전보다 3배 가까이 늘어났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