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중공업이 친환경 해양 원자력발전기술 개발에 나선다.
삼성중공업은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해양 용융염원자로(MSR, Molten Salt Reactor) 개발 및 공동연구 협약'을 맺었다고 9일 밝혔다.
용윰염원자로는 소형모듈원자로(SMR)의 하나로 1차 냉각재로 용융염을 사용한다.
용윰염원자로는 사용주기가 20년 이상으로 선박 수명주기와 일치해 선박에 한 번 탑재하면 추가 교체가 필요없고 원자로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선박에 적용하기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원자로 내부에 이상이 생기면 용융염이 굳도록 설계돼 안전성이 높고 향후 그린수소 생산으로 활용범위를 넓힐 수 있다고 삼성중공업은 설명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삼성중공업과 원자력연구원은 용융염원자로 관련 기술과 기자재 개발, 해양 원자력제품 설계와 사업모델 개발 등에 협력한다.
정진택 삼성중공업 대표이사 사장은 "용융염원자로는 기후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이 가능한 무탄소 에너지원으로 삼성중공업의 사업방향에 부합하는 차세대 기술"이라며 "용융염원자로가 암모니아, 수소기술과 함께 미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연구개발에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상유 기자]
삼성중공업은 한국원자력연구원과 '해양 용융염원자로(MSR, Molten Salt Reactor) 개발 및 공동연구 협약'을 맺었다고 9일 밝혔다.

▲ 정진택 삼성중공업 대표이사 사장(왼쪽)과 박원석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장이 8일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에서 '해양 용융염원자로(MSR) 개발 및 공동연구 협약'을 맺은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삼성중공업>
용윰염원자로는 소형모듈원자로(SMR)의 하나로 1차 냉각재로 용융염을 사용한다.
용윰염원자로는 사용주기가 20년 이상으로 선박 수명주기와 일치해 선박에 한 번 탑재하면 추가 교체가 필요없고 원자로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선박에 적용하기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 원자로 내부에 이상이 생기면 용융염이 굳도록 설계돼 안전성이 높고 향후 그린수소 생산으로 활용범위를 넓힐 수 있다고 삼성중공업은 설명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삼성중공업과 원자력연구원은 용융염원자로 관련 기술과 기자재 개발, 해양 원자력제품 설계와 사업모델 개발 등에 협력한다.
정진택 삼성중공업 대표이사 사장은 "용융염원자로는 기후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이 가능한 무탄소 에너지원으로 삼성중공업의 사업방향에 부합하는 차세대 기술"이라며 "용융염원자로가 암모니아, 수소기술과 함께 미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연구개발에 집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