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주가가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한미약품이 개발하고 있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가 다양한 작용에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신약 가치가 한층 커질 것으로 예상됐다.
 
한미약품 주가 상승 전망, "개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신약가치 커져"

▲ 권세창 한미약품 신약 개발부문 총괄 대표이사 사장.


이동건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8일 한미약품 목표주가를 41만 원,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신규 제시했다.

7일 한미약품 주가는 33만2천 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 연구원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환자들에게 체중 감량은 필수적 치료법이기 때문에 체중을 조절하는 GLP-1(글라카곤 유사 펩타이드-1)이 가장 각광을 받고 있다”며 “한미약품의 듀얼아고니스트와 트리플아고니스트 모두 GLP-1를 기반으로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는 기전물질인 만큼 가치가 더욱 부각되겠다”고 내다봤다.

비알코올성 지방감염은 알코올 섭취와 상관없이 간세포에 과도한 지방이 축적돼 염증이 발생하고 섬유화가 일어나는 질환이다. 환자 가운데 약 20%정도가 간경변증으로 진행되고 간암의 발생 위험도도 증가시킨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제시장은 2030년 기준으로 약 30조 원 규모로 추정되지만 아직까지 허가를 받은 치료제가 없다.

듀얼아고니스트는 한미약품이 독자 개발한 랩스커버리 기술을 적용해 GLP-1과 글루카곤 수용체에 이중으로 작용하게끔 만든 신약 후보물질이다.

듀얼아고니스트는 당초 당뇨 및 비만 치료제로 개발하려 했지만 체중 감소효과를 확인하면서 현재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다. 올해 하반기 임상2a상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트리플아고니스트도 랩스커버리 기술을 적용해 GLP-1과 글루카곤 수용체, 위억제폴리펩타이드에 삼중으로 작용하게끔 만든 신약 후보물질이다.

트리플아고니스트는 현재 임상2b상이 진행되고 있다. 임상 결과에 따라 기술이전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됐다.

한미약품은 2021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1254억 원, 영업이익 1218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0년보다 매출은 4.6%, 영업이익은 148.7% 각각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