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고무줄처럼 늘어나는 디스플레이기술을 개발했다.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은 4일 ‘스트레처블(Stretchable, 뻗을 수 있는) 센서와 올레드(OLED,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개발 연구’의 결과를 글로벌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이 연구를 통해 디스플레이를 사람의 피부에 부착해 몸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은 스트레처블 올레드 디스플레이와 광혈류 측정센서를 하나의 기기에 통합해 ‘스트레처블 전자피부’를 구성했다.
광혈류 측정이란 혈관에 빛을 투사해 혈액이 통과할 때 혈관의 팽창과 수축에 따라 빛의 반사율이 달라지는 원리를 활용한 맥박 측정기술이다.
연구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새 디스플레이기술이 적용된 제품은 디스플레이 길이를 30% 늘리는 작업을 1천 회 반복해도 성능의 저하 없이 정상 동작한다.
이 제품의 광혈류 측정센서는 손목이 움직일 때를 기준으로 기존의 고정형 실리콘센서보다 심박신호 추출 효율이 2.4배 높았다.
윤영준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전문연구원은 “새로 개발한 기술을 통해 일상에서 제약 없이 장시간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며 “특정 질환을 지닌 환자뿐 아니라 일반인과 영유아를 위한 헬스케어 제품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은 4일 ‘스트레처블(Stretchable, 뻗을 수 있는) 센서와 올레드(OLED,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개발 연구’의 결과를 글로벌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이 개발한 스트레처블 올레드 디스플레이를 피부에 부착한 모습, <삼성전자>
이 연구를 통해 디스플레이를 사람의 피부에 부착해 몸의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도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은 스트레처블 올레드 디스플레이와 광혈류 측정센서를 하나의 기기에 통합해 ‘스트레처블 전자피부’를 구성했다.
광혈류 측정이란 혈관에 빛을 투사해 혈액이 통과할 때 혈관의 팽창과 수축에 따라 빛의 반사율이 달라지는 원리를 활용한 맥박 측정기술이다.
연구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새 디스플레이기술이 적용된 제품은 디스플레이 길이를 30% 늘리는 작업을 1천 회 반복해도 성능의 저하 없이 정상 동작한다.
이 제품의 광혈류 측정센서는 손목이 움직일 때를 기준으로 기존의 고정형 실리콘센서보다 심박신호 추출 효율이 2.4배 높았다.
윤영준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전문연구원은 “새로 개발한 기술을 통해 일상에서 제약 없이 장시간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며 “특정 질환을 지닌 환자뿐 아니라 일반인과 영유아를 위한 헬스케어 제품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