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고위인사가 비트코인은 화폐가 될 수 없다며 무분별한 투자를 경계할 것을 당부했다.
차현진 한국은행 인사경영국장은 31일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화폐는 민간이 정하는 게 아니고 국가가 정하는 것이다"며 "비트코인은 영원히 돈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차 국장은 "사람들이 (비트코인을 화폐로) 착각하는 것이 옛날에는 조개껍데기를 돈으로 썼다느니 이런 환상 때문이다"며 "자기앞수표나 신용카드 많이 쓴다고 그게 화폐가 아닌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조개껍데기 역시 부족장이나 왕이 내린 국가적 합의나 명령에 따라 화폐로 쓰였을 뿐 많이 통용된다고 해서 화폐가 되는 것이 아니라고 했다.
차 국장은 "계속 오를 거라고 생각한다든지 미래의 화폐가 된다든지 이런 착각은 하지 말고 본인이 좋으면 투자해도 되지만 알고는 투자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다만 차 국장은 가상화폐가 자산은 될 수 있으며 정부가 가상화폐 투자이익에 과세를 하려는 방침도 납득할 만하다고 짚었다.
차 국장은 "거래가 되는 것은 무엇이든 자산이 될 수 있다"며 "정부가 내년부터 250만 원 이상의 가상화폐 투자이익에 과세를 하는 것은 크게 잘못된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다만 "그에 상응하는 보호가 필요하다는 투자자들의 요구도 일리가 있다"며 "정부가 감안해 조치를 하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공준호 기자]
차현진 한국은행 인사경영국장은 31일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해 "화폐는 민간이 정하는 게 아니고 국가가 정하는 것이다"며 "비트코인은 영원히 돈이 될 수 없다"고 말했다.

▲ 비트코인 이미지.
차 국장은 "사람들이 (비트코인을 화폐로) 착각하는 것이 옛날에는 조개껍데기를 돈으로 썼다느니 이런 환상 때문이다"며 "자기앞수표나 신용카드 많이 쓴다고 그게 화폐가 아닌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조개껍데기 역시 부족장이나 왕이 내린 국가적 합의나 명령에 따라 화폐로 쓰였을 뿐 많이 통용된다고 해서 화폐가 되는 것이 아니라고 했다.
차 국장은 "계속 오를 거라고 생각한다든지 미래의 화폐가 된다든지 이런 착각은 하지 말고 본인이 좋으면 투자해도 되지만 알고는 투자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다만 차 국장은 가상화폐가 자산은 될 수 있으며 정부가 가상화폐 투자이익에 과세를 하려는 방침도 납득할 만하다고 짚었다.
차 국장은 "거래가 되는 것은 무엇이든 자산이 될 수 있다"며 "정부가 내년부터 250만 원 이상의 가상화폐 투자이익에 과세를 하는 것은 크게 잘못된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다만 "그에 상응하는 보호가 필요하다는 투자자들의 요구도 일리가 있다"며 "정부가 감안해 조치를 하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공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