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C가 유럽에 전기차배터리용 동박공장을 짓는다.
SKC는 동박 제조계열사 SK넥실리스가 25일 이사회를 열고 연간 생산능력 5만 톤 규모의 배터리용 동박공장을 유럽에 건설하기로 결정했다고 26일 밝혔다.
SK넥실리스는 유럽 동박공장 후보지로 폴란드를 검토하고 있다. 폴란드 정부와 투자조건에 관한 협의를 마치면 구체적 지역을 확정하게 된다.
SK넥실리스는 공장부지가 결정되면 바로 공장 설계와 인허가 등 사전 준비작업에 착수해 2024년에 완공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SKC는 폴란드가 넓은 부지를 활용해 추가설비 확장에 유리하고 대규모 전력을 신재생에너지로 확보할 수 있어 'RE100(신재생에너지를 통한 재생전기 100% 사용)' 이행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SKC는 2025년까지 전체 동박 생산능력 20만 톤 이상을 확보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올해 초 기준 동박 생산능력은 3만4천 톤이다.
SKC 관계자는 "SK넥실리스는 2025년까지 동박 생산능력을 20만 톤 이상으로 확대해 기술력과 생산능력 모두 세계 선도기업이 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상유 기자]
SKC는 동박 제조계열사 SK넥실리스가 25일 이사회를 열고 연간 생산능력 5만 톤 규모의 배터리용 동박공장을 유럽에 건설하기로 결정했다고 26일 밝혔다.

▲ SKC 동박 제조 계열사 SK넥실리스 정읍공장 전경. < SKC >
SK넥실리스는 유럽 동박공장 후보지로 폴란드를 검토하고 있다. 폴란드 정부와 투자조건에 관한 협의를 마치면 구체적 지역을 확정하게 된다.
SK넥실리스는 공장부지가 결정되면 바로 공장 설계와 인허가 등 사전 준비작업에 착수해 2024년에 완공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SKC는 폴란드가 넓은 부지를 활용해 추가설비 확장에 유리하고 대규모 전력을 신재생에너지로 확보할 수 있어 'RE100(신재생에너지를 통한 재생전기 100% 사용)' 이행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SKC는 2025년까지 전체 동박 생산능력 20만 톤 이상을 확보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올해 초 기준 동박 생산능력은 3만4천 톤이다.
SKC 관계자는 "SK넥실리스는 2025년까지 동박 생산능력을 20만 톤 이상으로 확대해 기술력과 생산능력 모두 세계 선도기업이 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