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광고사업과 전자상거래, 신사업부문에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고 하반기에는 게임과 웹툰의 해외진출 효과까지 더해질 것으로 전망됐다.
김학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7일 카카오 목표주가를 기존 10만6천 원에서 12만7천 원으로 높여 잡았다. 투자의견은 시장수익률 상회(Outperform)를 유지했다.
6일 카카오 주가는 11만5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 연구원은 “매출에서 포털비즈(포털사이트 관련)가 부진했으나 비즈보드(카카오톡 상단 광고)를 필두로 한 톡광고사업의 성장세가 확대됐다”며 “전자상거래(커머스) 호조로 거래액이 작년에 비해 58% 성장하고 있다”고 바라봤다.
카카오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2580억 원, 영업이익 1575억 원을 냈다. 지난해 4분기보다 매출은 1.8%, 영업이익은 5.3% 늘어났다.
카카오톡에 삽입하는 상품광고인 톡보드도 지난해 4분기 하루 매출 10억 원을 낸 이후 올해 1분기에는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매출이 2배 넘게 늘어났다.
채널 매출도 지난해와 비교해 72% 증가했다.
신사업부문에서도 성장세가 나타났다. 카카오 택시와 페이부문에서 거래액이 증가했는데 특히 카카오페이 거래액은 올해 1분기 22조 원을 달성했다. 송금을 제외한 거래액이 78% 증가했다.
김 연구원은 카카오가 하반기에 톡비즈(카카오톡 메신저를 활용한 광고 및 상거래)의 성장 유지와 해외진출을 동시에 노릴 것으로 바라봤다.
카카오는 인터넷쇼핑몰 지그재그 사업자들과 연계해 카카오톡 채널에서 구매와 결제가 가능하게 해 톡비즈의 성장을 유지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콘텐츠부문에서는 대형PC와 모바일게임의 해외 출시를 앞두고 있고 웹툰 역시 북미시장 진출을 바라보고 있다.
김 연구원은 “하반기에 마케팅비용이 늘어날 것으로 보이지만 광고부문의 성장과 신사업들의 이익이 증가하면서 전체 성장은 유지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카카오는 2021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5조 5995억 원, 영업이익 7158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2020년보다 매출은 34.7%, 영업이익은 57% 늘어난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서아 기자]
광고사업과 전자상거래, 신사업부문에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고 하반기에는 게임과 웹툰의 해외진출 효과까지 더해질 것으로 전망됐다.

▲ 여민수(왼쪽) 조수용 카카오 공동대표이사.
김학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7일 카카오 목표주가를 기존 10만6천 원에서 12만7천 원으로 높여 잡았다. 투자의견은 시장수익률 상회(Outperform)를 유지했다.
6일 카카오 주가는 11만5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김 연구원은 “매출에서 포털비즈(포털사이트 관련)가 부진했으나 비즈보드(카카오톡 상단 광고)를 필두로 한 톡광고사업의 성장세가 확대됐다”며 “전자상거래(커머스) 호조로 거래액이 작년에 비해 58% 성장하고 있다”고 바라봤다.
카카오는 올해 1분기 연결기준으로 매출 1조2580억 원, 영업이익 1575억 원을 냈다. 지난해 4분기보다 매출은 1.8%, 영업이익은 5.3% 늘어났다.
카카오톡에 삽입하는 상품광고인 톡보드도 지난해 4분기 하루 매출 10억 원을 낸 이후 올해 1분기에는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매출이 2배 넘게 늘어났다.
채널 매출도 지난해와 비교해 72% 증가했다.
신사업부문에서도 성장세가 나타났다. 카카오 택시와 페이부문에서 거래액이 증가했는데 특히 카카오페이 거래액은 올해 1분기 22조 원을 달성했다. 송금을 제외한 거래액이 78% 증가했다.
김 연구원은 카카오가 하반기에 톡비즈(카카오톡 메신저를 활용한 광고 및 상거래)의 성장 유지와 해외진출을 동시에 노릴 것으로 바라봤다.
카카오는 인터넷쇼핑몰 지그재그 사업자들과 연계해 카카오톡 채널에서 구매와 결제가 가능하게 해 톡비즈의 성장을 유지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콘텐츠부문에서는 대형PC와 모바일게임의 해외 출시를 앞두고 있고 웹툰 역시 북미시장 진출을 바라보고 있다.
김 연구원은 “하반기에 마케팅비용이 늘어날 것으로 보이지만 광고부문의 성장과 신사업들의 이익이 증가하면서 전체 성장은 유지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카카오는 2021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5조 5995억 원, 영업이익 7158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2020년보다 매출은 34.7%, 영업이익은 57% 늘어난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서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