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세계 스마트폰 점유율 1위를 수성하는 데 성공했지만 점유율은 점점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은 중저가 라인업을 앞세워 인도 브라질 등 신흥시장을 통해 점유율을 방어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 |
||
▲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 |
1일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지난해 4분기 출하량을 기준으로 세계 스마트폰 점유율 1위 자리를 지켰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 세계 스마트폰 점유율 19.5%를 차지했다. 애플이 17.9%, 화웨이가 8.0%로 그 뒤를 이었다.
전문가들은 삼성전자가 앞으로도 세계 스마트폰 1위 자리를 지켜낼 수 있을지 낙관하기 어렵다고 전망한다.
삼성전자의 세계 스마트폰 시장점유율은 2013년 34.1%를 기록한 뒤 2014년 24.2%로 감소하면서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고동진 사장은 스마트폰 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 갤럭시A와 J시리즈 등 중저가 라인업을 확대하며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점유율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지난해 4분기 시장 점유율 1위를 지킬 수 있었던 것도 신흥시장에서 중저가 라인업을 확대한 효과 덕분이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삼성전자는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 부진했지만 중저가 라인업은 인도 베트남 브라질 등 신흥시장에서 선전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올해부터 신흥시장에서 중국업체들과 경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고 사장이 삼성전자의 세계 시장점유율을 방어해낼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된다.
시장조사기관 SA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중국에서 지난해 4분기 화웨이, 샤오미는 물론이고 오포 비보 등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현지 스마트폰업체들보다 스마트폰 출하량이 적었다.
업계 관계자들은 중저가 스마트폰의 성능이 상향평준화되는 상황에서 삼성전자가 중국에 내놓은 중저가 라인업이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시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고 사장은 삼성전자만의 브랜드 가치를 강조하며 중국업체들의 공세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고 자신하고 있다.
하지만 향후 신흥시장에서도 중저가 스마트폰을 찾는 소비자들이 브랜드 가치보다 가격을 더 우선시하게 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중저가 스마트폰 시장에서 브랜드 충성도가 떨어지는 추세”라며 “중저가 스마트폰 시장에서 평균판매단가를 낮추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게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삼성전자는 원화 강세가 지속되고 있어 신흥국향 수출제품의 가격을 낮추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업체들과 가격으로 차별화하기는 더 힘들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업체들이 신흥시장에 본격 진출하면 삼성전자의 점유율 확보도 쉽지 않을 것”이라며 “갤럭시A와 J시리즈가 얼마나 가격에서 경쟁력을 갖출 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오승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