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과 울산광역시가 친환경사업 추진을 위해 손을 잡았다.
롯데케미칼은 울산시와 9일 울산시청 상황실에서 '친환경 플라스틱 재활용 플랫폼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송철호 울산광역시장과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이사가 협약식에 참석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롯데케미칼은 2024년까지 울산2공장에 약 1천억 원을 들여 연간 생산량 11만 톤 규모의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 생산공장을 짓는다.
울산시는 인허가 등 행정 지원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기로 했다.
화학적 재활용 페트는 폐페트를 화학적으로 재활용하는 기술로 생산된다.
폐페트를 화학적으로 분해하고 정제한 뒤 중합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화학적 재활용 페트가 만들어진다.
롯데케미칼은 국내 최초로 폐페트 분쇄조각을 연간 5만 톤까지 처리하는 '해중합공장'과 연간 11만 톤 규모 화학적 재활용 페트를 생산하는 설비를 2024년까지 구축하기로 했다.
이후 화학적 재활용 페트 생산시설을 증설해 재활용 페트사업 규모를 연간 26만 톤 규모로 확대하고 2030년까지 기존 울산의 페트공장도 화학적 재활용 페트공장으로 전환한다.
롯데케미칼은 중소기업에서 생산된 '기계적 재활용 페트(M-rPET)' 판매를 롯데케미칼 브랜드와 수출 유통망을 활용해 돕는다는 계획도 세웠다.
롯데케미칼은 지속가능한 성장과 친환경사업 확대를 위해 올해 2월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전략을 도입했으며 이번 사업 역시 ESG경영 확대 차원에서 추진된다고 설명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
롯데케미칼은 울산시와 9일 울산시청 상황실에서 '친환경 플라스틱 재활용 플랫폼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 송철호 울산시장(왼쪽),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이사가 9일 울산시청 상황실에서 열린 업무협약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롯데케미칼>
송철호 울산광역시장과 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이사가 협약식에 참석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롯데케미칼은 2024년까지 울산2공장에 약 1천억 원을 들여 연간 생산량 11만 톤 규모의 ‘화학적 재활용 페트(C-rPET)’ 생산공장을 짓는다.
울산시는 인허가 등 행정 지원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기로 했다.
화학적 재활용 페트는 폐페트를 화학적으로 재활용하는 기술로 생산된다.
폐페트를 화학적으로 분해하고 정제한 뒤 중합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화학적 재활용 페트가 만들어진다.
롯데케미칼은 국내 최초로 폐페트 분쇄조각을 연간 5만 톤까지 처리하는 '해중합공장'과 연간 11만 톤 규모 화학적 재활용 페트를 생산하는 설비를 2024년까지 구축하기로 했다.
이후 화학적 재활용 페트 생산시설을 증설해 재활용 페트사업 규모를 연간 26만 톤 규모로 확대하고 2030년까지 기존 울산의 페트공장도 화학적 재활용 페트공장으로 전환한다.
롯데케미칼은 중소기업에서 생산된 '기계적 재활용 페트(M-rPET)' 판매를 롯데케미칼 브랜드와 수출 유통망을 활용해 돕는다는 계획도 세웠다.
롯데케미칼은 지속가능한 성장과 친환경사업 확대를 위해 올해 2월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전략을 도입했으며 이번 사업 역시 ESG경영 확대 차원에서 추진된다고 설명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