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산 주식 매수의견이 유지됐다.
전기동(고순도 구리) 가격 강세에 힘입어 2021년 1분기 실적이 호조를 보인 것으로 파악됐다.
박성봉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7일 풍산 목표주가 3만8천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6일 풍산 주가는 3만3천 원에 거래를 마쳤다.
박 연구원은 “풍산은 올해 1분기 주력상품인 신동의 원자재인 전기동 가격 강세 등에 힘입어 양호한 실적을 낸 것으로 추정된다”며 “최근 풍산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은 전기동 가격의 일시적 조정의 영향인데 실적 전망을 생각하면 주가가 과도하게 조정됐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풍산은 비철금속 생산 전문회사다. 구리, 동합금 제품을 생산해 공급하는 신동사업부문과 군용탄, 스포츠탄 등 탄약을 제조하는 방산사업부문을 운영한다.
풍산은 2021년 1분기 별도기준으로 매출 5506억 원, 영업이익 311억 원을 낸 것으로 추정됐다. 2020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35.6%, 영업이익은 150.7% 늘어난 것이다.
1분기 국내와 해외에서 가전제품 및 자동차 판매가 회복되면서 신동 판매량이 2020년 1분기보다 9.1% 증가했다.
풍산은 1분기 전기동 가격 상승분을 반영하면서 메탈게인(원재료보다 제품 판매가격이 높아 발생하는 이익) 및 재고평가이익이 100억 원 규모로 발생한 것도 실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1분기 런던금속거래소(LME) 전기동 가격은 직전 분기인 2020년 4분기와 비교해 18.7% 상승했다.
박 연구원은 “전기동 가격은 최근 미국의 장기국채 금리 상승으로 투자심리가 악화되면서 조정을 받고 있지만 아직 상승여력이 있다”며 “상반기 중국의 부동산 및 인프라 투자 영향으로 글로벌 전기동 가격이 다시 상승세로 전환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박혜린 기자]
전기동(고순도 구리) 가격 강세에 힘입어 2021년 1분기 실적이 호조를 보인 것으로 파악됐다.

▲ 류진 풍산 대표이사 회장.
박성봉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7일 풍산 목표주가 3만8천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유지했다.
6일 풍산 주가는 3만3천 원에 거래를 마쳤다.
박 연구원은 “풍산은 올해 1분기 주력상품인 신동의 원자재인 전기동 가격 강세 등에 힘입어 양호한 실적을 낸 것으로 추정된다”며 “최근 풍산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것은 전기동 가격의 일시적 조정의 영향인데 실적 전망을 생각하면 주가가 과도하게 조정됐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풍산은 비철금속 생산 전문회사다. 구리, 동합금 제품을 생산해 공급하는 신동사업부문과 군용탄, 스포츠탄 등 탄약을 제조하는 방산사업부문을 운영한다.
풍산은 2021년 1분기 별도기준으로 매출 5506억 원, 영업이익 311억 원을 낸 것으로 추정됐다. 2020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35.6%, 영업이익은 150.7% 늘어난 것이다.
1분기 국내와 해외에서 가전제품 및 자동차 판매가 회복되면서 신동 판매량이 2020년 1분기보다 9.1% 증가했다.
풍산은 1분기 전기동 가격 상승분을 반영하면서 메탈게인(원재료보다 제품 판매가격이 높아 발생하는 이익) 및 재고평가이익이 100억 원 규모로 발생한 것도 실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1분기 런던금속거래소(LME) 전기동 가격은 직전 분기인 2020년 4분기와 비교해 18.7% 상승했다.
박 연구원은 “전기동 가격은 최근 미국의 장기국채 금리 상승으로 투자심리가 악화되면서 조정을 받고 있지만 아직 상승여력이 있다”며 “상반기 중국의 부동산 및 인프라 투자 영향으로 글로벌 전기동 가격이 다시 상승세로 전환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