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손해보험이 본사사옥을 매각했다.
롯데손해보험은 30일 캡스톤자산운용과 서울 중구 남창동 소재 본사사옥 매각 및 임차(세일 앤 리스백)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롯데손해보험은 계약을 통해 추가 자본확충없이 2240억 원의 유동성을 확보하게 돼 지급여력(RBC)비율이 8.6%포인트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더해 2023년 국제회계기준(IFRS17)과 신지급여력제도(K-ICS)의 도입 등 제도변화에 대비할 수 있는 재무 건전성을 갖추게 됐다.
2023년 새로 도입될신지급여력제도(K-ICS) 도입시 보험사가 보유한 부동산자산 위험계수는 현재 △업무용 6% △투자용 9%에서 최대 25%까지 상향조정된다.
롯데손해보험 관계자는 "보험환경과 회계기준 변화의 선제적 대응방안으로 사옥 매각과 장기임차를 결정하게 됐다"며 "이를 통해 지급여력비율 상승과 재무 건전성 높이기 등 효과가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공준호 기자]
롯데손해보험은 30일 캡스톤자산운용과 서울 중구 남창동 소재 본사사옥 매각 및 임차(세일 앤 리스백)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롯데손해보험 로고.
롯데손해보험은 계약을 통해 추가 자본확충없이 2240억 원의 유동성을 확보하게 돼 지급여력(RBC)비율이 8.6%포인트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더해 2023년 국제회계기준(IFRS17)과 신지급여력제도(K-ICS)의 도입 등 제도변화에 대비할 수 있는 재무 건전성을 갖추게 됐다.
2023년 새로 도입될신지급여력제도(K-ICS) 도입시 보험사가 보유한 부동산자산 위험계수는 현재 △업무용 6% △투자용 9%에서 최대 25%까지 상향조정된다.
롯데손해보험 관계자는 "보험환경과 회계기준 변화의 선제적 대응방안으로 사옥 매각과 장기임차를 결정하게 됐다"며 "이를 통해 지급여력비율 상승과 재무 건전성 높이기 등 효과가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공준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