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화학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주력사업인 폴리프로필렌(PP)과 프로판 탈수소화설비(PDH)부문을 비롯해 모든 사업부문에서 실적 호조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효성화학 목표주가 높아져, "모든 사업부문에서 실적호조 보여"

▲ 이건종 효성화학 대표이사.


이동욱 키움증권 연구원은 22일 효성화학 목표주가를 기존 33만 원에서 43만 원으로 높여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직전 거래일인 19일 효성화학 주가는 28만9천 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 연구원은 "모든 사업부문의 실적이 개선돼 1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크게 상회할 것이다"며 "중형화학주 가운데 최선호주(톱픽)다"고 말했다. 

2021년 1분기 영업이익은 450억 원으로 2020년 1분기보다 262.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먼저 폴리프로필렌과 프로판 탈수소화설비부문에서 영업이익이 2020년 1분기와 비교해 523.6% 증가한 299억 원에 이를 것으로 바라봤다. 

이 연구원은 폴리프로필렌 공급이 빠듯해져 베트남 지역의 사업 적자가 대폭 감소하고 유럽 등 선진국의 산업용 파이프시장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다.  

주사기용 등 고부가 폴리프로필렌의 수요가 증가 추세에 있는 점도 실적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이 연구원은 "유럽과 미국 폴리프로피렌 가격이 급등한 지역으로 수출이 확대될 것이다"고 바라봤다. 

삼불화질소(NF3)와 폴리케톤 등 기타부문 영업이익은 지난해 1분기보다 97.7% 증가한 150억 원 정도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삼불화질소는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등의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세척하는 데 사용하는 특수가스다.

효성화학의 삼불화질소 생산능력은 연 4550톤으로 SK머티리얼즈의 생산능력(연 1만2100톤)에 이어 세계 2위의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폴리케톤은 일산화탄소(CO)를 원료로 만든 친환경·탄소저감형 고분자 소재로 효성화학이 2013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 연구원은 "반도체와 LCD업황이 개선돼 삼불화질소가 실적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고 완구용 폴리케톤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고 파악했다. 

효성화학은 2021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2조2964억 원, 영업이익 2187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2020년 실적 추정치보다 매출은 26.4%, 영업이익은 259.1% 증가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김하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