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자·전지분야 주요 기업들이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민관협의체에 참여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전기전자 탄소중립위원회 출범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전기전자 탄소중립위 출범, 삼성전자 LG전자 LG에너지솔루션 참여

▲ 산업통상자원부 로고.


전기전자 탄소중립위원회는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삼은 산·학·연·관 협의체를 말한다. 탄소중립은 탄소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위원회에는 삼성전자, 삼성전기, 삼성SDI, LG전자, LG이노텍, LG에너지솔루션, LS전선, 인텍전기전자 등 주요 기업들이 참여한다.

이들은 ‘2050 전자·전기·전지 탄소중립 공동선언문’을 통해 탄소중립에 동참하겠다고 약속했다.

단기적으로는 생산공정을 개선하고 저탄소 원자재를 사용하는 등 공정·제품 효율화로 온실가스를 감축한다. 

중장기적으로는 자원순환성 강화, 친환경 제품 개발 등 혁신기술을 적용해 산업계 전반의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기업들은 정부에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시설투자를 위한 세액공제 확대, 온실가스 감축 인증범위 확대, 고효율 기술개발 및 설비 지원, 친환경 수소 기술 등 연구개발 지원을 건의하기도 했다.

산업부에 따르면 국내 전기전자산업은 연간 970만 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이는 산업부문의 3.7%, 국가 전체 배출량의 1.3%에 이른다.

강경성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대규모 연구개발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하고 세제·금융지원·규제 개선과제를 발굴해 기업들이 탄소중립 공정을 혁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