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광수 은행연합회장이 3월9일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은행연합회>
김광수 회장은 9일 온라인으로 취임 100일 기념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간담회는 은행연합회의 올해 중점 추진과제를 설명하고 금융권 현안을 바라보는 시각을 공유하기 위해 열렸다.
김 회장은 최근 금융당국에서 사모펀드 손실사태에 연루된 은행장들을 징계하려는 것을 두고 부정적 시각을 내비쳤다.
그는 "은행장이 모든 임직원 행위를 실질적으로 관리감독할 수 없는 현실을 감안해야 한다"며 "금융감독업무에 불확실성이 제거되고 소통이 강화돼야 자율적 경영활동을 위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은행연합회가 올해 추진해 나갈 중점과제로는 3월 중순 시행되는 금융소비자보호법 개정안에 따른 대응체계 강화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 강화를 제시했다.
은행권의 혁신과 비대면시대 경쟁력 확보를 위해 마이데이터와 인공지능, 디지털플랫폼 등 신기술 역량 확보에도 집중해야 한다고 봤다. 고객 관점에서 은행 이용경험을 개선할 수 있도록 노력해 핀테크 및 IT기업과 맞설 수 있는 장기적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금융당국이 빅테크회사와 규제를 달리해 금융회사에 불이익을 주지 않도록 전반적으로 규제체계 정비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냈다.
금융소비자 보호에는 금융사업에 진출하는 IT기업 및 핀테크기업도 예외가 될 수 없는 만큼 금융당국에서 감시체계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의미다.
은행의 고객들에 적극적으로 자산관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금융상품 관련 규제완화도 필요하다고 봤다.
김 회장은 "규제 완화를 위해 금융당국 및 국회와 긴밀히 협의해 나가겠다"며 "은행권도 불완전판매 가능성이 큰 상품에 강화된 내부통제기준을 적용해 소비자 보호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