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022년 초 코로나19 국산 백신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최 장관은 22일 온라인으로 열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신년 간담회에서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내년 초에는 코로나19 국산 백신 개발이 가능하리라고 생각한다”며 “국내제약사들 일정에 의하면 올해 말쯤 임상3상을 진행해 내년 초 제품이 나올 수 있다는 로드맵이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국산 백신의 개발을 끝까지 지원하겠다고 했다.
최 장관은 “백신의 효과가 얼마나 지속할지 모르고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도 많아 해외 개발 백신에만 의존할 수 없다”며 “이에 대비해 국내 백신, 치료제 개발 플랫폼을 갖추는 게 절실하다”고 말했다.
타액으로 3분 만에 코로나19를 진단하는 반도체 기반 신속 진단키트를 상용화하겠다는 구상도 내놓았다.
최 장관은 “산업계와 학계, 연구소뿐 아니라 병원과 함께 힘을 모아 완전히 새로운 개념의 진단키트를 준비하고 있다”며 “3월까지는 시간상으로 충분히 도입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의 코로나19 이전 일상 회복 지원이 최우선 과제다”며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을 통해 역경을 극복하고 발전 역사를 이어가는 것, 그 과실을 공유하는 기반을 만드는 것이 과기정통부의 소명이다”고 말했다.
최 장관은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로 혁신적 진단키트, 치료제, 백신을 개발하고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를 조속히 설립해 감염병과 신종 바이러스에 대한 국가 대응능력을 키우겠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승리 기자]
최 장관은 22일 온라인으로 열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신년 간담회에서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내년 초에는 코로나19 국산 백신 개발이 가능하리라고 생각한다”며 “국내제약사들 일정에 의하면 올해 말쯤 임상3상을 진행해 내년 초 제품이 나올 수 있다는 로드맵이 있다”고 말했다.
▲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코로나19 국산 백신의 개발을 끝까지 지원하겠다고 했다.
최 장관은 “백신의 효과가 얼마나 지속할지 모르고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도 많아 해외 개발 백신에만 의존할 수 없다”며 “이에 대비해 국내 백신, 치료제 개발 플랫폼을 갖추는 게 절실하다”고 말했다.
타액으로 3분 만에 코로나19를 진단하는 반도체 기반 신속 진단키트를 상용화하겠다는 구상도 내놓았다.
최 장관은 “산업계와 학계, 연구소뿐 아니라 병원과 함께 힘을 모아 완전히 새로운 개념의 진단키트를 준비하고 있다”며 “3월까지는 시간상으로 충분히 도입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의 코로나19 이전 일상 회복 지원이 최우선 과제다”며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을 통해 역경을 극복하고 발전 역사를 이어가는 것, 그 과실을 공유하는 기반을 만드는 것이 과기정통부의 소명이다”고 말했다.
최 장관은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로 혁신적 진단키트, 치료제, 백신을 개발하고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를 조속히 설립해 감염병과 신종 바이러스에 대한 국가 대응능력을 키우겠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