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가 설 연휴 이후 코로나19 확산세에 우려를 표시하며 정부부처에 총력 대응을 주문했다.
정 총리는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설 연휴 이후 코로나19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며 “정부는 현상황을 엄중하게 받아들여 가용한 자원을 총동원해 기민하게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대형병원을 비롯해 노동자들이 밀집한 생산현장, 가족모임 등 일상 곳곳에서 집단감염이 계속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며 “전문가들을 서둘러 확산세를 통제하지 못하면 최악의 상황이 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9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561명 발생했다고 밝혔다.
설 연휴 이전에 300~400명대를 유지했던 확진자 수가 연휴 이후 500~600명대를 유지하며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 총리는 현장에서 방역조치를 실천하는 게 중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며칠 전 경기도의 한 공장에서 직원 3분의 2가 넘는 110여 명이 한꺼번에 감염된 사례가 발생했다”며 “외국인 노동자가 밀집한 일터나 지역을 미리 점검하고 선제검사 등 예방조치에 나설 줄 것을 관계부처에 당부했는데 현장에서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 것인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그럴듯한 대책보다 빈틈없는 실천이 중요하다”며 “고용노동부와 법무부는 외국인 밀집지역이나 사업장에 관한 방역관리를 한층 강화해달라”고 지시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류근영 기자]
정 총리는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설 연휴 이후 코로나19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며 “정부는 현상황을 엄중하게 받아들여 가용한 자원을 총동원해 기민하게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 정세균 국무총리.
그는 “대형병원을 비롯해 노동자들이 밀집한 생산현장, 가족모임 등 일상 곳곳에서 집단감염이 계속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며 “전문가들을 서둘러 확산세를 통제하지 못하면 최악의 상황이 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9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561명 발생했다고 밝혔다.
설 연휴 이전에 300~400명대를 유지했던 확진자 수가 연휴 이후 500~600명대를 유지하며 확산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 총리는 현장에서 방역조치를 실천하는 게 중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며칠 전 경기도의 한 공장에서 직원 3분의 2가 넘는 110여 명이 한꺼번에 감염된 사례가 발생했다”며 “외국인 노동자가 밀집한 일터나 지역을 미리 점검하고 선제검사 등 예방조치에 나설 줄 것을 관계부처에 당부했는데 현장에서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 것인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그럴듯한 대책보다 빈틈없는 실천이 중요하다”며 “고용노동부와 법무부는 외국인 밀집지역이나 사업장에 관한 방역관리를 한층 강화해달라”고 지시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류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