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투자 경험을 지닌 40대 가운데 절반가량이 최근 투자규모를 확대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나은행 100년 행복연구센터는 40대의 금융투자 인식 변화를 담은 ‘대한민국 40대가 사는 법, 주린이가 되기로 작정하다’를 발간했다고 16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40대 소득자 가운데 78.2%가 금융투자자이며 이 가운데 57.4%는 앞으로 투자규모를 늘릴 계획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투자자는 현재 주식, 채권 및 펀드 등 투자 목적의 금융자산을 보유한 사람을 뜻한다.
투자경험이 없는 40대 가운데 61%는 소득이 늘어 여유가 생기거나 정보 부족이 해소되면 금융투자를 시작할 계획을 지닌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40대의 투자 확대경향이 두드러졌다.
금융투자 경험을 지닌 40대 가운데 절반가량(43.6%)은 최근 1~2년 사이에 투자를 확대했다. 금융투자자 가운데 15%는 최근 1년 사이 처음 투자를 시작했다.
투자를 확대한 이유를 살펴보면 40대 초중반(40~44세)과 40대 후반(45~49세) 모두 ‘저금리 지속’과 ‘투자를 안하면 목돈 마련이 어려워져서’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40대 초반은 ‘주택(부동산) 등 가격 상승’을, 40대 후반은 ‘앞으로 가구소득이 그리 늘지 않을 것’을 투자 확대 이유로 들었다.
금융투자자 가운데 38%는 최근 리스크 선호도가 바뀌었다고 대답했다.
특히 금융투자자 가운데 26%가 공격적으로 바뀌었다고 대답해 보수적으로 변했다는 응답비율(12%)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리스크 선호도가 높아진 투자자 가운데 73%는 직접투자를 선호했다. 금융투자상품 가운데 상장지수펀드(ETF)에 관심이 높았다.
최근 투자 확대 움직임에도 투자손실을 감수할 의향이 낮은 투자자가 대다수로 나타났다.
금융투자자 2명 가운데 1명(54.5%)은 여전히 ‘투자원금 보전’을 원하거나 ‘-5% 미만’의 손실을 감수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10% 이상’의 손실도 감수하겠다는 공격적 투자자는 15.8%에 그쳤다.
이원주 하나은행 연금신탁그룹장은 “40대는 평생 보유할 재산을 형성할 시기이면서 자녀교육, 주택 마련 등 여러 과제도 안고 있는 만큼 세심한 투자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나은행 100년 행복연구센터는 서울 및 4대 광역시에 사는 40대 소득자 1천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두형 기자]
하나은행 100년 행복연구센터는 40대의 금융투자 인식 변화를 담은 ‘대한민국 40대가 사는 법, 주린이가 되기로 작정하다’를 발간했다고 16일 밝혔다.

▲ 하나은행 100년 행복연구센터는 40대의 금융투자 인식 변화를 담은 ‘대한민국 40대가 사는 법, 주린이가 되기로 작정하다’를 발간했다고 16일 밝혔다. 사진은 금융투자 확대 시기. <하나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40대 소득자 가운데 78.2%가 금융투자자이며 이 가운데 57.4%는 앞으로 투자규모를 늘릴 계획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투자자는 현재 주식, 채권 및 펀드 등 투자 목적의 금융자산을 보유한 사람을 뜻한다.
투자경험이 없는 40대 가운데 61%는 소득이 늘어 여유가 생기거나 정보 부족이 해소되면 금융투자를 시작할 계획을 지닌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40대의 투자 확대경향이 두드러졌다.
금융투자 경험을 지닌 40대 가운데 절반가량(43.6%)은 최근 1~2년 사이에 투자를 확대했다. 금융투자자 가운데 15%는 최근 1년 사이 처음 투자를 시작했다.
투자를 확대한 이유를 살펴보면 40대 초중반(40~44세)과 40대 후반(45~49세) 모두 ‘저금리 지속’과 ‘투자를 안하면 목돈 마련이 어려워져서’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40대 초반은 ‘주택(부동산) 등 가격 상승’을, 40대 후반은 ‘앞으로 가구소득이 그리 늘지 않을 것’을 투자 확대 이유로 들었다.
금융투자자 가운데 38%는 최근 리스크 선호도가 바뀌었다고 대답했다.
특히 금융투자자 가운데 26%가 공격적으로 바뀌었다고 대답해 보수적으로 변했다는 응답비율(12%)보다 2배 이상 많았다.
리스크 선호도가 높아진 투자자 가운데 73%는 직접투자를 선호했다. 금융투자상품 가운데 상장지수펀드(ETF)에 관심이 높았다.
최근 투자 확대 움직임에도 투자손실을 감수할 의향이 낮은 투자자가 대다수로 나타났다.
금융투자자 2명 가운데 1명(54.5%)은 여전히 ‘투자원금 보전’을 원하거나 ‘-5% 미만’의 손실을 감수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10% 이상’의 손실도 감수하겠다는 공격적 투자자는 15.8%에 그쳤다.
이원주 하나은행 연금신탁그룹장은 “40대는 평생 보유할 재산을 형성할 시기이면서 자녀교육, 주택 마련 등 여러 과제도 안고 있는 만큼 세심한 투자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나은행 100년 행복연구센터는 서울 및 4대 광역시에 사는 40대 소득자 1천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두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