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 주식의 매수의견이 유지됐다.

전기차배터리사업이 공격적 투자를 통해 실적 개선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SK이노베이션 주식 매수의견 유지, "전기차배터리 공격적 투자"

▲ 김준 SK이노베이션 대표이사 총괄사장.


황유식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일 SK이노베이션 목표주가 33만 원, 투자의견 매수(BUY)를 각각 유지했다.

SK이노베이션 주가는 직전 거래일인 1월29일 28만 원에 거래를 마쳤다.

SK이노베이션은 2020년 말 기준으로 전기차배터리 생산능력을 30GWh 확보했다. 올해 1분기 중국 2개 지역의 전기차배터리공장이 완공되면 생산능력이 40GWh로 증가한다.

SK이노베이션은 미국과 헝가리에도 새 공장을 짓고 있는데 앞서 1월 헝가리에 전기차배터리의 3번째 공장을 짓는 계획을 내놓는 등 공격적으로 설비투자에 나서고 있다.

공장들이 계획대로 완공되면 SK이노베이션의 전기차배터리 생산능력은 2023년 85GWh, 2025년 125GWh까지 순차적으로 확대된다.

황 연구원은 SK이노베이션이 전기차배터리사업에서 규모의 경제를 확대해 수익성을 끌어올릴 것으로 내다봤다.

SK이노베이션 전기차배터리사업은 올해 매출 3조5천억 원을 내고 감가상각 전 영업이익(EBITDA)은 흑자전환할 것으로 전망됐다.

SK이노베이션은 2020년 콘퍼런스콜에서 2022년이면 전기차배터리사업이 매출 5조5천억 원에 영업이익까지 흑자로 돌아서고 2025년에는 7~9%대의 영업이익률을 낸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황 연구원은 “SK이노베이션은 소재 자회사 SK아이이테크놀로지의 상장과 윤활기유 자회사 SK루브리컨츠의 지분 매각 등을 준비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단기적 재무 리스크를 완화하고 전기차배터리 투자재원도 확보할 수 있다”고 파악했다.

SK이노베이션은 2021년에 연결기준으로 매출 40조6800억 원, 영업이익 2250억 원을 낼 것으로 전망됐다. 2020년 잠정실적과 비교해 매출은 18.1% 늘고 영업이익을 내 흑자전환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