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자동차강판 판매가격 인상과 함께 철근 수요가 개선돼 영업이익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현대제철 목표주가 높아져, "자동차강판 판매가격 인상 가시화"

▲ 안동일 현대제철 대표이사 사장.



이종형 키움증권 연구원은 7일 현대제철 목표주가를 기존 3만8천 원에서 5만5천 원으로 높여 잡았다. 투자의견은 매수(BUY)를 유지했다. 

현대제철 주가는 6일 4만2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유 연구원은 “올해 상반기 현대차그룹에 판매하는 자동차강판 가격이 2017년 2분기 이후 4년 만에 인상될 가능성이 커졌다”며 “2019~2020년 동안 급격하게 나빠졌던 고로의 수익성이 좋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현대제철은 현대차와 자동차강판 가격 인상 여부와 인상폭에 대한 협상을 2월부터 시작해 빠르면 3~4월, 늦어도 2분기 안에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유 연구원은 “지난해 아파트 분양상황이 좋았고 대한제강이 YK스틸을 인수하면서 철근시장의 수요가 개선될 것이다”며 “전기로 수익성도 2년 연속 개선추세가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현대제철은 수소에너지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정책추진에 주목받고 있다. 

유 연구원은 모그룹인 현대자동차의 수소차 확대전략에 발맞춰 현대제철의 부생수소와 수소전기차 금속분리판사업도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부생수소란 철강을 만드는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나오는 수소다. 현대제철은 2014년 수소공장을 건설해 2016년 1월 상업 생산을 시작했다. 

현대제철은 2021년 연결기준으로 매출 20조3390억 원, 영업이익 7160억 원을 낼 것으로 예상됐다. 2020년 실적 추정치보다 매출은 12.1%, 영업이익은 501.7% 늘어나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류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