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융감독원이 30일 발표한 ‘2020년 금융소비자보호 실태평가 결과’에 따르면 금융사 11곳이 ‘미흡’ 등급을 받았다. 사진은 우수와 양호 등급을 받은 금융사. <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이 30일 발표한 ‘2020년 금융소비자 보호 실태평가 결과’에 따르면 금융사 11곳이 ‘미흡’ 등급을 받았다. 2019년 평가에서 미흡을 받은 곳은 2곳이었다.
미흡 등급은 종합등급 5단계(우수-양호-보통-미흡-취약) 가운데 두 번째로 낮은 등급이다.
은행 5곳(IBK기업은행, BNK부산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과 증권사 4곳(대신증권, 신한금융투자, KB증권, NH투자증권)이 미흡 등급을 받았다.
라임자산운용과 옵티머스자산운용 사모펀드, 독일 헤리티지 펀드, 디스커버리 펀드, 이탈리아 헬스케어 펀드 등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태가 종합적으로 고려됐다.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은 2년 연속 미흡에 이름을 올렸다.
삼성생명과 KDB생명도 미흡 평가를 받았다.
삼성생명은 암 보험 가입자에게 요양병원 입원비 지급을 부당하게 거절해 소비자 피해와 사회적 물의를 초래한 것으로 평가돼 등급이 한 단계 낮아졌다.
KDB생명은 민원 건수, 상품 개발·판매 과정의 소비자 보호체계, 소비자 보호정책 참여 및 민원시스템 운영 등 항목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다.
전체 금융사 71곳 가운데 우수 등급을 받은 금융사는 우리카드와 현대카드 등 2곳(2.8%)이다.
양호는 24곳(33.8%), 보통은 34곳(47.9%)이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두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