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는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어떤 영향을 받을까?
우리나라는 외환 기초여건(펀더멘탈)이 좋아 기준금리 인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덜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기업들은 신흥국가의 경기 악화로 수출에 타격을 입을 가능성도 있다.
◆ 단기적 영향은 제한적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7일 기자들과 만나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국내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며 “국내 외채구조는 단기에서 중장기로 가고 있으며 돈을 빌리는 것보다 채권 발행을 더 늘리는 등 안정적인 방향으로 바뀌고 있다”고 밝혔다.
![]() |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국은행-국제통화기금(IMF) 컨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뉴시스> |
우리나라의 전체 외환보유액에서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 금융위기 당시 52%에서 올해 9월 말 기준으로 29.2%로 감소했다. 단기외채가 많을수록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부담에 늘어나 경제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경상수지도 10월까지 44개월 연속으로 흑자를 냈다. 올해 1~10월까지 누적된 흑자규모만 878억9천만 달러에 이른다.
국제 신용평가기관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가 우리나라의 외환 건전성을 높게 평가해 최근 국가 신용등급을 AA-로 한단계 상향 조정하기도 했다.
홍준표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신흥국가의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면 오히려 한국에 자금이 몰릴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 수출과 부채관리에 먹구름
문병기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신흥국가 경제가 불안해지면 우리나라의 수출부진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우리나라는 올해 1~10월 동안 전체 수출금액의 57.8%를 중국 등 신흥국가로 수출했다. 반도체(12%), 디스플레이(9.5%), 자동차(5.6%) 등 주요 산업의 수출물량에서 신흥국가의 비중도 큰 편이다.
문 연구위원은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점진적으로 인상해도 중국의 경기둔화와 원자재 가격하락 등의 불안요소가 겹쳐 신흥국가의 경기를 크게 위축시킬 수 있다”며 “신흥국가 수출비중이 높은 품목들에서 수출 부진이 심화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 |
||
▲ 박일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이 10일 서울 LG전자 서초 연구개발 캠퍼스에서 열린 '전자업계 수출 간담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
우리나라 가계부채는 9월 기준으로 1166조 원에 이른다. 가계부채 규모는 월평균 증가폭을 감안하면 올해 안에 1200조 원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권 관계자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1% 올리면 대출금리가 0.2% 인상된다”며 “가계의 이자부담이 늘어나 소비가 줄어들면 자영업자와 기업으로 위기가 확산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업부채도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이다. 기업부채는 1500조 원대로 추산된다.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3월 기준으로 국내 비금융 상장기업 628곳 가운데 35%가 최근 3년 동안 영업수익으로 이자도 못 갚는 ‘좀비기업’이다.
이한득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계상황에 이른 기업들이 상당수 잠복해 있는 상황”이라며 “이들의 부실 위험성이 현실화된다면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에 미치는 충격이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