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가 2030년까지 일회용 플라스틱을 퇴출시키겠다고 했다.
정세균 총리는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2030년까지 모든 업종에서 일회용 플라스틱이 사라지도록 사용금지 업종을 확대해 재포장과 이중포장 등도 엄격히 제한하겠다”고 말했다.
플라스틱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제품을 생산할 때 재생원료의 의무 사용 등 다양한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정 총리는 “정부의 노력에도 아직 1인당 플라스틱 원료 사용량이 세계 3위로 높고 코로나19로 비대면 소비가 늘어 플라스틱 쓰레기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다”고 짚었다.
그는 “산업계의 부담이 커지고 국민들도 불편할 수 있지만 탈플라스틱사회 전환은 선택이 아닌 피할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며 “관계부처는 기업과 국민들께 이번 대책을 잘 설명해 드리고 참여와 협조를 구해달라”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윤호 기자]
정세균 총리는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2030년까지 모든 업종에서 일회용 플라스틱이 사라지도록 사용금지 업종을 확대해 재포장과 이중포장 등도 엄격히 제한하겠다”고 말했다.

▲ 정세균 국무총리.
플라스틱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제품을 생산할 때 재생원료의 의무 사용 등 다양한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정 총리는 “정부의 노력에도 아직 1인당 플라스틱 원료 사용량이 세계 3위로 높고 코로나19로 비대면 소비가 늘어 플라스틱 쓰레기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다”고 짚었다.
그는 “산업계의 부담이 커지고 국민들도 불편할 수 있지만 탈플라스틱사회 전환은 선택이 아닌 피할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며 “관계부처는 기업과 국민들께 이번 대책을 잘 설명해 드리고 참여와 협조를 구해달라”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