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가 국가고시 응시를 거부한 의대생들을 구제할 수 있다는 태도를 보였다.
정 총리는 20일 오전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국가고시 거부 의대생 구제 방안과 관련한 질문을 받고 “국민여론 때문에 신중했는데 조만간 정부가 현실적 상황을 고려해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재시험 기회를 줄 가능성이 열려 있는가’라고 묻자 정 총리는 “그렇게 볼 수도 있다”고 대답했다.
정 총리는 “재시험 기회를 주는 게 공정한지, 절차가 정당한지와 관련한 다양한 여론이 있어 그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며 “국민 여론도 좀 바뀌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의과대학 본과 4년 학생들은 의대 정원 확대 등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반발해 8월 의사 국가고시를 집단으로 거부한 바 있다.
정부와 여당, 의료계가 9월4일 의정 협의체 구성 등을 뼈대로 합의사항을 도출했지만 학생들은 두 차례의 재접수 기회에도 시험을 거부했다.
결국 대상자 3172명 가운데 14%인 436명만 응시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류근영 기자]
정 총리는 20일 오전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국가고시 거부 의대생 구제 방안과 관련한 질문을 받고 “국민여론 때문에 신중했는데 조만간 정부가 현실적 상황을 고려해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 정세균 국무총리.
‘재시험 기회를 줄 가능성이 열려 있는가’라고 묻자 정 총리는 “그렇게 볼 수도 있다”고 대답했다.
정 총리는 “재시험 기회를 주는 게 공정한지, 절차가 정당한지와 관련한 다양한 여론이 있어 그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며 “국민 여론도 좀 바뀌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의과대학 본과 4년 학생들은 의대 정원 확대 등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반발해 8월 의사 국가고시를 집단으로 거부한 바 있다.
정부와 여당, 의료계가 9월4일 의정 협의체 구성 등을 뼈대로 합의사항을 도출했지만 학생들은 두 차례의 재접수 기회에도 시험을 거부했다.
결국 대상자 3172명 가운데 14%인 436명만 응시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류근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