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남창 대림건설 대표이사 사장이 물류센터 수주에서 성과를 내며 주택에 치우친 매출구조 다각화에 힘을 주고 있다.
물류센터 수주 과정에서 지분투자도 함께 진행해 디벨로퍼(개발사업자)로 가능성도 타진하고 있다.
11일 대림건설에 따르면 물류센터 공사를 잇달아 수주하면서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다.
대림건설은 10일 1138억 원 인천항동 드림물류센터 공사를, 11월27일 1064억 원 규모 로지스코아 북천안 물류센터 공사를 잇달아 수주했다.
2일에는 인천 서구 원창동 복합물류센터 공사를 페블스톤엠디피에프브이로부터 1051억 원에 수주하면서 지분투자도 함께 진행해 물류센터 개발사업에도 발을 들였다.
조 사장은 코로나19로 물류 이동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물류센터 시공뿐 아니라 분양과 임대를 통해 더 큰 수익을 낼 수 있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물류센터 공사는 현대건설이나 포스코건설, 호반그룹 등 주요 건설사들도 적극적으로 수주에 나설 정도로 시장 전망이 밝다고 평가된다.
올해 신규 A급 물류센터는 최근 5년 평균 공급량의 약 2배 수준인 184만㎡ 규모를 보였는데 2022년까지 580만㎡ 규모의 추가 공급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물류센터와 관련해서는 부동산 거래도 늘어나는 등 최근 시장 분위기가 좋다.
보여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코리아의 '국내 물류부동산 시장 리포트'를 보면 올해 1~3분기까지 물류센터 부동산 누적 거래금액은 약 2조3천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4% 증가하면서 역대 최대 거래금액을 경신했다.
대림건설 관계자는 "물류센터는 최근 발주가 가장 활발한 분야로 꼽힌다"며 "수요가 많고 전망이 밝은 만큼 관심을 지니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물류센터를 시작으로 여러 개발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물류센터 개발사업으로 확대는 삼호와 고려개발 합병으로 대림건설이 7월 출범할 당시 조 사장이 내걸었던 디벨로퍼(개발사업자)를 향한 움직임으로도 풀이된다.
조 사장은 대림건설 출범 당시 보도자료를 통해 “현재 건설업은 작은 빙하기시대로 진입하고 있고 대형사의 시장 점유율은 날로 증가하는 양극화가 심해져 근원적 변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며 "도급순위 상승이 목표가 아니라 지속성장할 수 있는 글로벌 디벨로퍼로 사업 기반을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물류센터를 비롯한 개발사업 확대는 대림건설의 매출구조를 다각화하는 데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대림건설은 주택매출 비중이 80% 정도로 건설업체 중에서도 높은 편이다. 최근 엄궁대교, 영종-신도 고속도로 등 토목사업 입찰에 활발하게 참여하는 등 매출구조 다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림건설으로 합병 전 고려개발과 삼호로 나뉘어 있던 시절부터 물류센터 시공경험이 풍부해 물류센터 개발사업으로 발을 넓히는 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고려개발은 951억 원 규모 아레나스 항공물류센터, 240억 원 규모 용인고안물류센터, 797억 원 규모 이천덕평물류센터 등 물류센터 시공경험이 풍부하다.
삼호 역시 인천 남항 최대 규모의 인천항동물류센터를 2170억 원에 수주한 경험이 있다.
이 밖에도 고려개발과 삼호는 이천덕평물류센터, 아모레퍼시픽 김천물류센터, 지엘 종합물류센터, 시화공동물류센터, 나이키 물류센터 등 여러 물류센터 수주실적을 들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안정문 기자]
물류센터 수주 과정에서 지분투자도 함께 진행해 디벨로퍼(개발사업자)로 가능성도 타진하고 있다.

▲ 조남창 대림건설 대표이사 사장.
11일 대림건설에 따르면 물류센터 공사를 잇달아 수주하면서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다.
대림건설은 10일 1138억 원 인천항동 드림물류센터 공사를, 11월27일 1064억 원 규모 로지스코아 북천안 물류센터 공사를 잇달아 수주했다.
2일에는 인천 서구 원창동 복합물류센터 공사를 페블스톤엠디피에프브이로부터 1051억 원에 수주하면서 지분투자도 함께 진행해 물류센터 개발사업에도 발을 들였다.
조 사장은 코로나19로 물류 이동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물류센터 시공뿐 아니라 분양과 임대를 통해 더 큰 수익을 낼 수 있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물류센터 공사는 현대건설이나 포스코건설, 호반그룹 등 주요 건설사들도 적극적으로 수주에 나설 정도로 시장 전망이 밝다고 평가된다.
올해 신규 A급 물류센터는 최근 5년 평균 공급량의 약 2배 수준인 184만㎡ 규모를 보였는데 2022년까지 580만㎡ 규모의 추가 공급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물류센터와 관련해서는 부동산 거래도 늘어나는 등 최근 시장 분위기가 좋다.
보여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코리아의 '국내 물류부동산 시장 리포트'를 보면 올해 1~3분기까지 물류센터 부동산 누적 거래금액은 약 2조3천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4% 증가하면서 역대 최대 거래금액을 경신했다.
대림건설 관계자는 "물류센터는 최근 발주가 가장 활발한 분야로 꼽힌다"며 "수요가 많고 전망이 밝은 만큼 관심을 지니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물류센터를 시작으로 여러 개발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물류센터 개발사업으로 확대는 삼호와 고려개발 합병으로 대림건설이 7월 출범할 당시 조 사장이 내걸었던 디벨로퍼(개발사업자)를 향한 움직임으로도 풀이된다.
조 사장은 대림건설 출범 당시 보도자료를 통해 “현재 건설업은 작은 빙하기시대로 진입하고 있고 대형사의 시장 점유율은 날로 증가하는 양극화가 심해져 근원적 변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며 "도급순위 상승이 목표가 아니라 지속성장할 수 있는 글로벌 디벨로퍼로 사업 기반을 공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물류센터를 비롯한 개발사업 확대는 대림건설의 매출구조를 다각화하는 데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대림건설은 주택매출 비중이 80% 정도로 건설업체 중에서도 높은 편이다. 최근 엄궁대교, 영종-신도 고속도로 등 토목사업 입찰에 활발하게 참여하는 등 매출구조 다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림건설으로 합병 전 고려개발과 삼호로 나뉘어 있던 시절부터 물류센터 시공경험이 풍부해 물류센터 개발사업으로 발을 넓히는 데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고려개발은 951억 원 규모 아레나스 항공물류센터, 240억 원 규모 용인고안물류센터, 797억 원 규모 이천덕평물류센터 등 물류센터 시공경험이 풍부하다.
삼호 역시 인천 남항 최대 규모의 인천항동물류센터를 2170억 원에 수주한 경험이 있다.
이 밖에도 고려개발과 삼호는 이천덕평물류센터, 아모레퍼시픽 김천물류센터, 지엘 종합물류센터, 시화공동물류센터, 나이키 물류센터 등 여러 물류센터 수주실적을 들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안정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