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가 현대모비스, 현대글로비스와 함께 미국 로봇업체 보스턴다이나믹스를 인수한다.

현대차는 10일 이사회를 열고 미국 보스턴다이나믹스 인수안건을 상정해 결의했다. 11일에는 현대모비스와 현대글로비스가 각각 이사회를 열어 보스턴다이나믹스 인수를 결의한다.
 
현대차 미국 로봇업체 인수, 현대모비스와 현대글로비스도 참여

▲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현대차그룹은 각 계열사의 이사회가 끝나면 보스턴다이나믹스 인수를 공식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인수금액은 애초 알려졌던 10억 달러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전해졌다. 각 계열사들이 보스턴다이나믹스 지분을 얼마씩 보유할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현대차가 가장 많은 지분을 보유하고 현대모비스와 현대글로비스가 나머지 지분을 나눠 보유하는 형태가 될 가능성이 높다.

현대차그룹이 2018년 말 미국의 자율주행 전문기업 앱티브와 합작법인을 만들기로 했을 때도 합작법인 지분의 절반을 앱티브가 보유하고 나머지 절반은 현대차가 26%, 기아차가 14%, 현대모비스가 10%씩 보유하는 형태로 나눴다.

현대차와 현대모비스, 현대글로비스가 보스턴다이나믹스 지분을 공동으로 소유하면 각 계열사별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다.

현대차는 이미 로봇분야를 미래사업으로 규정하고 노동자의 작업을 보조할 수 있는 웨어러블로봇 등을 개발해 선보인 바 있다. 현대글로비스는 보스턴다이나믹스에서 연구하고 있는 다양한 로봇들을 통해 물류분야에 혁신기술을 입힐 수 있다.

현대모비스는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핵심 부품사업들을 담당하고 있는 만큼 보스턴다이나믹스가 쌓아온 다양한 기술을 접목할 수 있다.

보스턴다이나믹스는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의 교수였던 보행로봇 권위자 마크 레이버트 박사가 만든 레그랩(다리연구소)에서1992년 시작된 기업이다. 2013년 구글에 인수됐다가 2017년 7월 소프트뱅크에 팔렸다.

보스턴다이나믹스가 2015년 처음 선보인 로봇 개 스폿은 360도 카메라를 장착하고 네 발로 초당 1.58m의 속도로 뛰거나 계단을 오를 수 있으며 방수기능도 지니고 있다.

보스턴다이나믹스는 아직 연구 중심 조직으로 운영되고 있다. 스폿 외에도 사람의 형상을 한 로봇을 내놨지만 사업화를 하지는 않았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