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내년에 중국 철강업체들의 구조조정에 따른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됐다.
이현수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17일 “중국 철강산업은 정부 주도가 아닌 시장의 자발적 구조조정에 돌입할 것으로 판단되며 국내 철강업체에서는 포스코가 가장 큰 수혜를 입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
▲ 권오준 포스코 회장. |
중국 정보제공업체인 생의사에 따르면 중국 철강업체 34개 가운데 절반이 넘는 22개 기업이 올해 3분기 순손실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중국 철강업체들이 내년까지 자발적인 구조조정에 나설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이렇게 되면 내년부터 국내 철강업계가 중국 발 공급과잉에서 차츰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는 실적이 부진한 가장 큰 원인으로 중국 철강업체들의 과잉생산이 꼽힌다. 중국 철강업체들의 과잉생산으로 제품가격을 올리지 못하면서 수익성이 악화했기 때문이다.
포스코는 중국 철강 수요가 내년 1분기부터 늘어나는 데 따른 수혜도 누릴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정부가 인프라 부문에 투자를 늘리고 있고 주택경기가 살아나면서 건축수요가 내년부터 늘어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윤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