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가전업체가 2분기에 실적 호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전제품 수요 증가에 따라 삼성전자와 LG전자의 가전사업도 예상보다 좋은 실적을 거둔 것으로 파악됐다.
24일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6월부터 북미를 포함한 글로벌 가전시장에서 생활가전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며 “글로벌 가전업체 실적은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삼성전자 2분기 CE(소비자가전)부문 영업이익이 7천억 원 수준으로 분기 최대치에 근접한 것으로 예상했다.
LG전자 2분기 H&A(생활가전)사업본부 영업이익도 6500억 원으로 시장기대치를 넘어설 것으로 추정했다.
김 연구원은 “상반기 LG전자 H&A본부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13.4%로 월풀 등 글로벌 경쟁업체 수익성을 압도할 것”이라며 “최근 3년간 점유율 확대 속 프리미엄 제품 판매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미국 가전회사 월풀은 23일 시장 예상을 큰 폭으로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다. 2분기 매출은 40억 달러, 주당 순이익은 2.15달러로 시장 전망을 각각 10.5%, 117.2% 웃돌았다.
마크 빗처 월풀 최고경영자(CEO)는 코로나19로 집안에 머무르는 시간이 확대되며 재택경제(stay at home economy)가 일상화되고 가전 교체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미에서 4인가족 기준으로 3400달러를 지급하는 등 세계 각국의 코로나19 재난지원금이 가전 중심 내구재 구매에 집중되고 있는 것도 수요 증가요인으로 판단됐다.
빗처 CEO는 하반기 가전시장 전망을 낙관적으로 바라보며 연간 매출목표를 상향 조정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
가전제품 수요 증가에 따라 삼성전자와 LG전자의 가전사업도 예상보다 좋은 실적을 거둔 것으로 파악됐다.

▲ 김현석 삼성전자 CE부문 대표이사 사장(왼쪽)과 송대현 LG전자 H&A사업본부장.
24일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6월부터 북미를 포함한 글로벌 가전시장에서 생활가전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며 “글로벌 가전업체 실적은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삼성전자 2분기 CE(소비자가전)부문 영업이익이 7천억 원 수준으로 분기 최대치에 근접한 것으로 예상했다.
LG전자 2분기 H&A(생활가전)사업본부 영업이익도 6500억 원으로 시장기대치를 넘어설 것으로 추정했다.
김 연구원은 “상반기 LG전자 H&A본부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13.4%로 월풀 등 글로벌 경쟁업체 수익성을 압도할 것”이라며 “최근 3년간 점유율 확대 속 프리미엄 제품 판매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미국 가전회사 월풀은 23일 시장 예상을 큰 폭으로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했다. 2분기 매출은 40억 달러, 주당 순이익은 2.15달러로 시장 전망을 각각 10.5%, 117.2% 웃돌았다.
마크 빗처 월풀 최고경영자(CEO)는 코로나19로 집안에 머무르는 시간이 확대되며 재택경제(stay at home economy)가 일상화되고 가전 교체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미에서 4인가족 기준으로 3400달러를 지급하는 등 세계 각국의 코로나19 재난지원금이 가전 중심 내구재 구매에 집중되고 있는 것도 수요 증가요인으로 판단됐다.
빗처 CEO는 하반기 가전시장 전망을 낙관적으로 바라보며 연간 매출목표를 상향 조정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