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국화재가 400억 원 규모의 자본을 확충한다.
흥국화재는 후순위채권 400억 원을 발행한다고 22일 밝혔다.
흥국화재는 2014년 9월 발행했던 후순위채권 400억 원의 만기가 돌아와 29일자로 상환하고 동일금액 400억 원을 30일자로 재발행한다.
메리츠증권이 대표주관업무를 맡아 21일 수요예측을 실시했다. 290억 원 모집이 됐으며 나머지 110억 원은 메리츠증권이 인수하기로 했다.
6월 말 기준으로 흥국화재의 지급여력(RBC)비율은 182.35%다. 400억 원의 후순위채 발행이 이뤄지면 지급여력비율은 190% 가까이로 올라간다.
흥국화재 관계자는 “당분간 신규 후순위채 추가 발행은 계획이 없으며 후순위채권 재발행만으로도 안정적 지급여력비율을 유지할 것”이라며 “2020년 3월 기준 만기보유증권 4조474억 원을 매도가능증권으로 재분류하면 지급여력비율이 약 61%포인트 증가해 237% 수준으로 상승할 수 있으나 현재 계정 재분류를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
흥국화재는 후순위채권 400억 원을 발행한다고 22일 밝혔다.

▲ 흥국화재 로고.
흥국화재는 2014년 9월 발행했던 후순위채권 400억 원의 만기가 돌아와 29일자로 상환하고 동일금액 400억 원을 30일자로 재발행한다.
메리츠증권이 대표주관업무를 맡아 21일 수요예측을 실시했다. 290억 원 모집이 됐으며 나머지 110억 원은 메리츠증권이 인수하기로 했다.
6월 말 기준으로 흥국화재의 지급여력(RBC)비율은 182.35%다. 400억 원의 후순위채 발행이 이뤄지면 지급여력비율은 190% 가까이로 올라간다.
흥국화재 관계자는 “당분간 신규 후순위채 추가 발행은 계획이 없으며 후순위채권 재발행만으로도 안정적 지급여력비율을 유지할 것”이라며 “2020년 3월 기준 만기보유증권 4조474억 원을 매도가능증권으로 재분류하면 지급여력비율이 약 61%포인트 증가해 237% 수준으로 상승할 수 있으나 현재 계정 재분류를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